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탑

추천0 조회수 2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탑은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하는 건조물로 솔도파‚ 수두파‚ 탑파라고도 한다. 원래는 부처의 사리를 넣기 위하여 돌이나 흙 등을 높게 쌓아올린 무덤을 말한다. 탑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분묘적인 성격이 있기 때문에 불교 이전부터 행해지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불사리 탑으로서의 성격은 석존이 열반한 후 그 사리를 여덟 곳으로 나누어 탑을 쌓기 시작한 데에서 비롯되었으며‚ 2-3세기경에는 인도 아육왕이 팔만사천탑을 만들었다고 한다. 따라서 탑은 단순한 무덤이 아니라 부처의 사리를 안치하는 성스러운 구조물로서 불교의 전파와 함께 각 나라에 널리 세워졌으나 나라마다‚ 시대마다 그 의미나 양식이 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탑의 기원은 목탑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탑이란 항상 공덕을 쌓는다는 의미가 있으므로 높은 누각 형태의 건축 수법을 적용하여 만들었다. 그러므로 예배장소로서의 대탑에서 뿐 아니라 공예적인 소탑에 이르기까지 목탑의 건축 의장을 착실히 따르게 되었다. 이곳에 보이는 탑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목조 탑파의 한 형식인 고려 누각 형태를 적용하고 있다. 이것은 주물로서 만들어진 청동탑으로 녹이 많이 생긴데다가 파손이 심하여 기단부만 남았기 때문에 원상을 알기 힘들다. 방형의 탑으로 2단의 기단만 남아 있는데‚ 측면은 투조로 만들어졌다. 1층과 2층은 1층의 지붕으로 구분된다. 지붕은 기왓골이 아닌 연꽃잎으로 장식되어 있다. 1층과 2층은 계단으로 연결된다. 계단은 2층의 난간과 연결된다. 난간은 목조건물의 난간의 형태를 띄고 있다. 계단 양옆은 탑을 수호하는 인왕상이 있다. 인왕이란 사찰의 문이나 입구를 지키는 한 쌍의 신장상이다. 금강역사‚ 이왕‚ 집금강신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인도의 고유신인 약차신에서 유래한 것으로 처음에는 갑옷을 입은 신장형으로 표현되었지만‚ 차츰 반나의 몸에 천의를 두르고 팔을 들어 왕성한 힘을 강조하는 역사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었다. 보통 두 신을 마주보게 하여 절의 문과 입구 좌우에 세운 것으로 사악한 것이 성스러운 경재네 들어오는 것을 막는 수문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탑의 인왕상은 마모가 심하기는 하지만 머리 위에 상투를 틀고 눈에는 힘을 준 듯 불거져 있는 것은 볼 수 있다. 계단 쪽 팔은 내려서 주먹을 쥐고 바깥쪽 팔은 위로 들어 올려 주먹을 쥐고 있다. 가운데에는 두 손을 모아 합장한 인물상이 있다. 인물상 뒤쪽에 무엇을 끼웠던 구멍이 있는데‚ 이것은 탑의 윗부분을 끼워 넣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공예적인 소탑은 실내용 불구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