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팔각벼루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팔각벼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먹을 가는 데 사용하는 문방구이다. 『고려도경』에 의하면 “연왈피로(硯曰皮盧)”라 하여 이미 고려 때부터 벼루라고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보통 돌로 만들지만 기와 재질‚ 도기 종류‚ 자기 종류‚ 진흙 재질‚ 단순히 흙을 구운 재질 등의 벼루도 있으며‚ 보석류나 금석류로도 만든다. 크기는 서당연처럼 큰 것에서부터 손가락만 한 행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형태 또한 원형·사각형·육각형·팔각형·십이 각형·타원형에서부터 여러 가지 물체를 본뜬 구연·연화연·풍자연·태사연·금연·석고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조각문양은 용·학·거북·봉황·포도·매화·난초·국화·대나무·불로초·감·물고기·팔괘·십장생·소상팔경 등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문자를 양각하거나 음각한 것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찍이 삼국시대부터 도제의 원형벼루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대체로 석연이 일반화된 것은 고려시대 이후라고 생각되는데‚ 현재 발굴되는 고려시대 무덤에서는 부장품으로 석제벼루가 많이 출토되고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크기·형태와 장식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져 석연 뿐 아니라 자기로 만든 자연도 생산되었다. 이 벼루는 조선시대 석연으로 팔각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상부는 가장 안쪽으로 팔각으로 파인 먹을 가는 부분이 있다. 그 주변을 팔각의 대로 두르고 있으며‚ 가장 겉의 팔각 테두리와 팔각의 대 사이에 홈이 있다. 측면의 각 면에는 팔괘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팔괘는 역학에서 자연계와 인간계의 본질을 인식하고 설명하는 기호체계이다. 팔괘는 자연계 구성의 기본이 되는 하늘·땅·못·불·지진·바람·물·산 등을 상징하는 것이다. 괘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는 이어진 선(―)과 끊어진 선(­­)인데‚ 이것은 일종의 범주로서 서로 반대가 되는 모든 현상과 관계성을 상징한다. 이어진 선을 양효‚ 끊어진 선을 음효로 명명하는데‚ 음효와 양효가 3개씩 겹쳐질 때 나타날 수 있는 경우는 모두 8가지이므로 팔괘가 성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2면이 만나는 부분 아래에는 다리가 있기 때문에 다리는 총 8개였을 것으로 보이나 2개는 파손되어 없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