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금동불입상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금동불입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불상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기초로 한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조각상이다. 인도에서 불교가 발생하고 교주인 석가모니의 열반 이후 약 500년 동안은 이러한 상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나‚ 1세기 경 쿠샨왕조시대부터 상이 만들어 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상들은 불교의 전래와 같이 인도에서 남으로는 해로를 통해 실론과 동남아지역으로 퍼져갔으며‚ 북으로는 육로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가면서 발전하였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1세기경의 후한시대로 생각되지만 오호십육국시대에 이르러 북방 호족들의 적극적인 불교 수용으로 인하여 불상제작도 활발해졌다. 우리나라에는 불교가 삼국시대에 처음 전래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형성된 조각은 중국의 영향 속에 발전한다. 이 상은 통일신라시대의 금동불입상으로 광배와 대좌가 남아있지 않고‚ 발목아래부터 파손되어있다. 머리 위에 혹과 같이 올라온 것으로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높이 솟아 있고‚ 머리는 민머리인 소발이다. 얼굴형은 둥글고‚ 약간의 미소를 띠고 있다. 동체에는 오른쪽 어깨와 가슴을 노출시키는 우견편단식으로 대의를 걸치고‚ 다시 오른쪽 어깨를 가리기 위해 별도의 웃옷을 걸쳤다. 옷주름은 사선방향으로 조밀하게 융기되어 하반신까지 내려온다. 양 팔과 동체사이에 깊이를 만들어 신체를 구분하고 있다. 발목아래부터는 파손되었다. 뒷면은 광배도 남아있지 않고‚ 편평하게 조형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