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등화사석

추천0 조회수 55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등화사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 석조물(石造物)은 법천사지 지광국사현묘탑비 앞에 있던 석등의 부분이다. 석등은 불전을 안치하는 것으로 주로 불전 앞에 세워두는 석조물이다. 불교에서는 등불을 밝히는 것이 공양 중에서도 으뜸이므로 일찍부터 등불을 안치하는 공양구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형태는 하대석(下臺石)‚ 중대석(中臺石)‚ 상대석(上臺石)‚ 화사석(火舍石)‚ 옥개석(屋蓋石) 등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옥개 위에는 보주를 얹은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등불을 안치하는 화사석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지만 그 형태는 대부분 4각‚ 6각‚ 8각형이다. 경전에 의하면 동‚ 철‚ 점토‚ 나무 등으로 다양한 종류의 석등이 있었다고 하나 석재를 사용하여 만든 것이 가장 많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여 가탑리 폐사지와 익산 미륵사지에서 백제시대 석등의 파편 등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이미 삼국시대에 석등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석조물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조각이 된 일부 석재만 남아있기 때문에 어떤 형태의 석등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현존하는 석조물이 장방형(長方形이)고 구획이 나뉘어 조각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화사석(火舍石)으로 추정된다. 보통 화사석은 등불을 올리는 방형의 구멍인 화창(火窓)과 조각을 새겨 장식한 면으로 채워진다. 이 화사석은 현재 조각이 있는 화사석 부분이며 옆면에 화창의 흔적이 일부 남아 있다. 조각은 마모가 심하긴 하지만 사람이 무릎 꿇고 앉아서 두 손을 모아 무엇인가를 바치는 모습이다. 이런 모습을 통하여 불교에서 꽃을 뿌리고 음악을 연주하는 하늘의 천인인 비천을 형상화한 것이 아닌가 싶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