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연화문수막새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연화문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수막새는 수키와의 한쪽 끝에 원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형성된 기왓등 끝에 사용된다. 수막새는 막새와 수키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막새는 외측에 둥근 주연이 있고 내측에 여러 가지 문양이 장식되어 있는데 그 중심부에는 둥그런 자방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무늬가 장식되지 않는 위주였으나‚ 통일신라 이후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주문이나 꽃무늬가 새겨져 시기적인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우리나라 수막새는 삼국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그런데 막새의 표면에는 연꽃‚ 보상화‚ 귀면‚ 금수 등의 다양한 무늬가 새겨져 다채롭게 변화되고 있는데 연꽃무늬가 주체적인 시문 단위로 채용되고 있다. 연꽃의 형태를 일정한 형식으로 도안화한 무늬이다. 불교에서는 대자대비(?慈??)를 상징하는 연꽃이 조형화되었다. 연화문 형식은 이집트 ? 그리스 ? 메소포타미아 ? 인도 등 고대문명권을 중심으로 신화적 종교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나고‚ 다시 불교에서 사용하며‚ 그 신화적 종교와 불교에서의 연꽃은 공통된 상징적 흐름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미술에서 연화문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구체적인 예는 고구려 ? 백제 등 고대 건물지에서 발견된 와당의 연화문 등을 말할 수 있다. 경주시 재독정에서 출토된 경질의 연화문수막새로 바탕흙은 붉은색을 띤 회백색이며‚ 모래가 다소 섞여 있다. 막새 면 일부와 주연 일부가 결실되었으며‚ 표면은 붉은빛을 띠고 있다. 막새면 중앙의 커다란 자방은 약간 돌출된 평면형으로 1+6과의 연자가 있으며 8엽의 복엽 연화문이 장식되었다. 꽃잎 끝 부분은 둥글게 융기하여 반전되었고‚ 꽃잎 사이의 사이 잎 또한 높이 솟아있어 양감이 강하다. 주연부는 다소 돌출되었으며‚ 문양은 보이지 않는다. 막새 측면과 표면에는 도구의 흔적이 있으며‚ 접합기법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