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불입상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불입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불상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기초로 한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조각상이다. 인도에서 불교가 발생하고 교주인 석가모니의 열반 이후 약 500년 동안은 이러한 상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나‚ 1세기 경 쿠샨왕조시대부터 상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상들은 불교의 전래와 같이 인도에서 남으로는 해로를 통해 실론과 동남아지역으로 퍼져갔으며‚ 북으로는 육로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가면서 발전하였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1세기경의 후한시대로 생각되지만 오호십육국시대에 이르러 북방 호족들의 적극적인 불교 수용으로 인하여 불상제작도 활발해졌다. 우리나라에는 불교가 삼국시대에 처음 전래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형성된 조각은 중국의 영향 속에 발전한다. 이 불상은 청동으로 만든 것으로 상과 대좌가 하나로 주조되었다. 전체적으로 녹이 많고 마모가 심하여 구체적인 모습을 알기가 어렵다. 자세는 서있는 모습이다. 동그란 얼굴 부분은 많이 닳아서 이목구비를 알 수 없다. 다만 머리위에 육계가 매우 높다는 것만 알 수 있을 뿐이다. 육계란 머리위에 혹과 같이 올라온 것으로 지혜를 상징하는 것이다. 얼굴에 비해 어깨의 폭은 좁으나 신체부의 길이는 긴 편이다. 불상의 몸에는 양어깨를 덮는 부처의 옷인 통견이 걸쳐져 있다. 이 옷에는 U자형의 형식화된 옷주름이 표현된다. 수인이란 불상이나 보살상의 표현에서 상의 성격과 형태에 따라 보여주는 손의 모습이다. 이 상은 손을 앞으로 하고 있으나 파손되어 정확한 수인을 알 수 없다. 다만 서있는 모습에 손을 앞으로 내밀고 있어서 아마도 이 상의 수인은 오른손을 위로 올리고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두려워 말라는 의미의 시무외인과 왼손을 밑으로 하여 소원을 받아들인다는 여원인이라고 추정된다. 대좌는 연꽃을 뒤집어놓은 모습의 복련이다. 상의 뒷면에는 어깨부터 발까지 큰 홈이 있는데‚ 이것은 주조할 때에 생긴 것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