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납석삼존불비상

추천0 조회수 66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납석삼존불비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불상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기초로 한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조각상이다. 인도에서 불교가 발생하고 교주인 석가모니의 열반 이후 약 500년 동안은 이러한 상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나‚ 1세기 경 쿠샨왕조시대부터 상이 만들어 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상들은 불교의 전래와 같이 인도에서 남으로는 해로를 통해 실론과 동남아지역으로 퍼져갔으며‚ 북으로는 육로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가면서 발전하였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1세기경의 후한시대로 생각되지만 오호십육국시대에 이르러 북방 호족들의 적극적인 불교 수용으로 인하여 불상제작도 활발해졌다. 우리나라에는 불교가 삼국시대에 처음 전래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형성된 조각은 중국의 영향 속에 발전한다. 이 불상은 충남 공주군에서 출토되었다. 유명한 연기군비상계통의 불상으로 신라통일초기의 백제불상양식계통을 따르던 불상의 하나이다. 얼굴은 약간의 손상은 있지만 대체로 보존이 좋은 편이다. 본존의 오른쪽 두부와 얼굴 일부분이 깨어져 없어졌지만‚ 남아 있는 부분으로 보아 소발의 머리칼에 얼굴 전체에 고졸한 미소를 띠고 있다. 상체가 긴 신체는 양감 없는 원통형이고 어깨도 움츠린 편이지만 가슴 등에서 약간의 사실미가 엿보이기 시작한다. 두 발은 대칭되게 가지런히 놓아 형식화시켰다. 불상이나 보살상의 표현에서 상의 성격과 형태에 따라 보여주는 손의 모습을 수인이라고 한다. 이 상은 손가락을 끝을 모두 굽혔으나‚ 오른손은 중생의 모든 두려움을 없애고 위안을 주는 시무외인을 취하고 왼손은 부처가 중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들어준다고 하는 의미의 여원인을 취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시무외인과 여원인이 짝을 이루어 크게 유행하였으며 두 수인을 합해서 일명 통인이라 한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는 통견식 대의를 입고 있는데‚ 두텁고 묵중한 표현‚ 가슴의 내의와 띠매듭‚ 왼쪽 손목으로 걸쳐 내린 옷자락 등 아직까지 삼국시대 작풍이 짙게 남아 있다. 광배는 원형두광인데 바깥 테두리에 꽃무늬가 양각되었고‚ 안에는 연꽃무늬를 새겨졌는데 끝이 날카로운 것이어서 삼국시대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대좌는 앙련과 복련의 2중대좌이다. 좌우 협시보살은 둘 다 입상인데 얼굴이 다소 마멸되었을 뿐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신체는 다소 자유스러운 자세를 취하고 있지만 무릎에 교차하는 의문‚ 군의의 많은 주름 등 삼국시대 작풍이 여실히 보이고 있다. 이 계통의 비상들과 비교해볼 때 통일초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