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조불좌상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조불좌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불상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기초로 한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조각상이다. 인도에서 불교가 발생하고 교주인 석가모니의 열반 이후 약 500년 동안은 이러한 상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나‚ 1세기경 쿠샨왕조시대부터 상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상은 불교의 전래와 같이 인도에서 남으로는 해로를 통해 실론과 동남아지역으로 퍼져갔으며‚ 북으로는 육로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가면서 발전하였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1세기경의 후한시대로 생각되지만 오호십육국시대에 이르러 북방 호족들의 적극적인 불교 수용으로 인하여 불상제작도 활발해졌다. 우리나라에는 불교가 삼국시대에 처음 전래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형성된 조각은 중국의 영향 속에 발전한다. 이 불상은 통일신라시대의 석조불좌상으로 대좌와 광배는 남아 있지 않지만‚ 그 외에 상은 완전하게 남아 있다. 머리 위에 혹처럼 올라온 것으로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살짝 솟아 있고‚ 머리는 부처의 머리카락을 나타내는 소라 껍데기 같은 모양의 굵은 나발로 덮여 있다. 얼굴형은 둥글지만 볼의 양감은 많이 줄어들었다. 눈은 반쯤 감은 눈으로 명상에 잠겨있는 듯하다. 얼굴의 이목구비는 전체적으로 온화하고 부드럽게 표현하고 있다. 옷은 양 어깨를 모두 감싸는 통견식 대의를 입고‚ 그 안에는 내의를 입고 있다. 마모가 심하여 정확하지는 않지만‚ 군의의 매듭도 크게 표현하고 있다. 옷주름은 양팔에서 몸통 쪽으로 사선을 이루면서 주름이 흘러내리고‚ 두 다리 사이에서도 넓게 U자를 이루면서 흘러내린다. 그 외의 옷주름은 마모가 심하여 확인하기 어렵다. 수인이란 불상이나 보살상의 표현에서 상의 성격과 형태에 따라 보여주는 손의 모습이다. 이 상은 오른손을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있다. 항마촉지인은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기 전 보리수 아래서 선정에 들었는데‚ 마왕이 깨달음을 얻지 못하게 방해를 하였다. 석가모니는 이것을 막기 위하여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손가락을 땅에 대었다. 그러자 지신이 나와 석가모니를 두둔해주고 마왕은 물러갔다. 이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 땅을 가리켜 마왕을 항복시켰다는 항마촉지인의 수인이다. 왼손은 손가락을 곧게 펴고‚ 손바닥은 위로 향한 채 발목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두고 있다. 뒷면에는 등 위쪽에 광배꽂이가 하나 남아있다. 이 상은 통일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전반적으로 양감이 줄어들고‚ 세부표현도 형식화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