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조불좌상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조불좌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불상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기초로 한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조각상이다. 인도에서 불교가 발생하고 교주인 석가모니의 열반 이후 약 500년 동안은 이러한 상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나‚ 1세기 경 쿠샨왕조시대부터 상이 만들어 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상들은 불교의 전래와 같이 인도에서 남으로는 해로를 통해 실론과 동남아지역으로 퍼져갔으며‚ 북으로는 육로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가면서 발전하였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1세기경의 후한시대로 생각되지만 오호십육국시대에 이르러 북방 호족들의 적극적인 불교 수용으로 인하여 불상제작도 활발해졌다. 우리나라에는 불교가 삼국시대에 처음 전래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형성된 조각은 중국의 영향 속에 발전한다. 이 상은 머리 부분이 파손되어 없는 석조불상으로‚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여 세부표현을 자세히 알아보기는 힘들다. 자세를 살피면 다리는 결가부좌한 채‚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하고 있다. 수인이란 불상이나 보살상의 표현에서 상의 성격과 형태에 따라 보여주는 손의 모습이다. 그 중 항마촉지인은 부처의 여러 수인 중 한가지이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기 전 보리수 아래서 선정에 들었는데‚ 마왕이 깨달음을 얻지 못하게 방해를 하였다. 석가모니는 이것을 막기 위하여 오른손을 무릎위에 올리고 손가락을 땅에 대었다. 그러자 지신이 나와 석가모니를 두둔해주고 마왕은 물러갔다. 이때의 모습을 나타난 것이 땅을 가리켜 마왕을 항복시켰다는 항마촉지인의 수인이다. 상의 신체부를 보면 어깨는 매우 좁으며 가슴부터 허리까지의 부분이 매우 왜소하다. 이러한 상체보다 하체는 더욱 빈약하여 결가부좌한 두 다리 사이의 폭이 좁다. 신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살펴보면 팔과 가슴부분은 비교적 잘 구분되어서 나타나지만‚ 하체부는 각 다리가 잘 나타나지 않고 덩어리 같은 모습이 강하다. 또한 상체에 비하여 하체부의 높이가 낮아서 비례가 불안정하다. 몸에 걸친 옷은 보살인데도 불구하고 부처의 복식인 대의이다. 보살의 대의형 옷차림은 고려시대에 나타나는 모습이다. 이 대의는 손상으로 인하여 전체 모양을 살피기 힘들지만 옷자락의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나타나있음을 볼 수 있다. 뒷면에는 광배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있고‚ 밑면에는 복장을 넣어두던 복장공이 원형으로 뚫려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