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탕카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탕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주로 면직물 위에 그린 티베트 불화(佛畵). <유래 및 발달과정> 티베트의 탱화(幀畵)로‚ 주로 면직물 위에 그린 후 족자로 만들어 사용했다. `탱`은 `틀에 그림을 붙이는 것`‚ `걸개`‚ `서화를 세는 단위` 등을 뜻한다. 그림을 말아 올릴 수 있도록 밑단에 대나무 막대를 붙였다. 사원의 벽이나 본당의 정면에 걸어 승려나 신도들의 일상 예배에 사용하거나‚ 종교 행렬에 들고나가기도 하며‚ 설법을 도해(圖解)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근본적인 목적은 명상을 돕는 데에 있다. 탕카는 기록상으로 7세기 송첸감뽀왕 때 처음 만들어졌다고 하지만 보편화가 이루어진 것은 원나라 때였다고 본다. 현존하는 것은 17-19세기에 제작된 것이 많다. 탕카의 종류는 재질에 따라 그림으로 된 것과‚ 화포[亞麻布‚ 綿布 (아마포‚ 면포)] 위에 수(繡)를 놓거나 오색 천으로 붙이는 것(꿔탕)으로 구분된다. 또한 형식에 따라 몇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첫 번째는 만다라 형식을 취한 것으로 힌두교의 얀트라(yantra: 특수한 도형)에 가까운 기하학적인 모양 가운데 존상(尊像)을 작게 묘사한 것이다. 두 번째는 존상을 중심으로 그린 것이다. 티베트 불교에서 유명한 불보살(佛菩薩)‚ 명왕(明?) 등을 중앙에 크게 그리고‚ 그에 관계된 여러 존상을 그 둘레에 그린다. 라마교 각 파의 조사상(祖師像)을 중심으로 하는 것도 있다. 세 번째는 석가를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에 생전의 행적을 늘어놓은 것이다. 생사륜(生死輪)‚ 중유도(中有圖)‚ 성신도(星辰圖) 등이 있다. 네 번째로 다수의 존상을 그린 것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중앙에 십일면천수관음을 세장하게 그렸다. 몸에는 영락과 사슴 가죽을 두르고 손에는 중앙의 보주를 중심으로 수정 염주‚ 법륜‚ 꽃가지 활‚ 정병 등을 들고 있다. 전체적인 형태는 락슈미류의 관음이다. 세밀한 신체 표현에 비해 신광을 둘러싼 꽃가지는 다수 성글게 표현되었다. 좌측에는 남색의 금강수가‚ 우측에는 문수가 협시로 그려졌는데‚ 본존과 마찬가지로 세장한 입상 형태를 보이며‚ 모두 연못에서 피어나는 연화 대좌 위에 서 있다. 금강수만은얼굴과 신체에 음영을 주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하였다. 상단 중앙에는 승형의 라마가 석장과 경책을 들고 구름 위에 앉아있다. 화면 좌측에는 쫑카빠와 두 제자가‚ 우측에는 무량수를 중심으로 불정존승모과 사비관음이 앉아 있어 장수와 관계된 삼존이 함께 그려졌음을 알 수 있다. 하단 중앙에는 산 위로 녹색 타라가 유희좌를 취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천상의 비중이 크며‚ 산과 물로 표현된 지상의 비중은 작다. 색감이 전체적으로 차분한 편이며 본존의 필선은 세밀하나 다른 존상들은 상대적으로 간략히 표현되었다. 특히 배경은 도식적으로 표현되었는데‚ 특히 구름과 산은 정형화된 형태를 보여주며 생동감이 다소 떨어진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