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나팔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나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관악기의 일종. <유래 및 발달과정> 관악기의 하나로 어원은 산스크리트의 `rappa`에서 온 것으로 이는 입을 크게 벌린다는 뜻이 있으며‚ 중국에서 나팔(喇叭)이라고 번역되었다. 인도의 나팔은 원래가 트럼펫 계통의 금관악기였는데 중국에서는 전면이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진 복황관악기(複簧管樂器) 소나(인도의 사나이)만을 나팔이라고 하였다. 쇠붙이로 긴 대롱같이 만들되 115㎝ 정도의 길이에 취구(吹口) 쪽은 가늘고‚ 끝 부분으로 가면서 차차 굵어지며 맨 끝은 나팔꽃모양으로 퍼지게 만든다. 두 도막 또는 세 도막으로 구분된 관(管)을 불지 않을 때에는 아래로 밀어 넣어 짧게 꽂아두기도 한다. 지공(指孔)이 없어 단음(單音)의 배음(倍音)에 해당되는 간단한 몇 가지 소리가 나기는 하지만‚ 보통 낮은 음 하나만을 길게 뻗어낸다. 금속성의 우렁차고 호쾌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악기로서 취구에 댄 입술로 음의 강약과 고저를 조절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관(管)을 길게 쭉 뽑아서 불게 되어 있으며 보관할 때는 마디와 마디를 밀어 넣게 되어 있다. 나팔의 대(帶)를 늘이는 마디마디가 용과 당초문(唐草文)으로 투각(透刻)되었다. 나팔부분의 양옆에 고리가 달려 있다. 둥근 동판을 말아서 접합한 자국이 보인다. 입구는 좁고 입을 대고 부를 수 있게 원형으로 벌어져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김규현‚『티베트 문화산책』‚ 정신세계사‚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