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장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의류 및 기타 기물(器物)을 보관(保管)하는 가구(家具)의 일종(一種). <유래 및 발달과정> 농장(籠欌)‚ 찬장‚ 책장 등 물건을 넣어두는 가구의 총칭이다. 장과 농(籠)은 개판(蓋板 : 맨 위에 댄 나무판)에 의하여 구별된다. 장은 개판(이마받이‚ ?板)을 가지되 몸체보다 좌우로 약 3∼4㎝ 더 크고 몸체는 층별로 분리됨이 없이 통으로 쓰게 된다. 중앙에는 두 짝의 문판을 달아 2층 또는 3층 등의 칸을 만들어 의류를 보관하게 되어 있다. 농은 개판이 없으며 몸체와 천판이 같은 상자형으로서 중앙에 문판을 달아 상하로 분리되어 서로 포개놓고 의류 등을 저장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대형 장은 방 윗목에‚ 소형 장은 아랫목에 놓고 썼는데‚ 장 위에는 혼함(婚函)‚ 궤(櫃) 등을 올려놓고 장식하기도 한다. 종류로는 층별에 따라 2층장‚ 3층장‚ 4층장 등이 있고‚ 재료에 따라 용목장‚ 먹감나무장‚ 죽장(竹欌) 등이 있다. 안방용 소형 장으로는 버선장‚ 애기장‚ 반닫이장 등이 있고‚ 사랑용에는 서장(書欌)‚ 도포장‚ 의걸이장‚ 탁자장(卓子欌) 외에 두루마리 서권(書卷) 등을 보관하는 단층의 경축장(經竺欌)과 같은 머릿장이 있다. 그리고 주방용의 식기장으로서 찬장(饌欌)‚ 찬탁자장(饌卓子欌) 등이 있다. 장의 구조로서 가장 눈에 뜨이는 개판짜임새는 두 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두꺼운 통판을 그대로 사용한 서안‚ 문갑‚ 머릿장용과‚ 또 하나는 골재(骨材)와 판재(板材)를 짜 맞추어 사변을 골주(骨柱)에 직접 대고 그 안을 널판으로 끼워 맞춘 장‚ 탁자 등의 형태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전면이 좁고 옆면이 긴 형태로 되어 있다. 몸체는 맞짜임하여 맞추고 상단의 서랍은 양쪽을 모두 사개물림한 후 못을 쳐서 고정하였다. 하단은 두 개의 경첩을 달아 여닫을 수 있는 문이다. 전면에는 보주가 감겨있는 당초문양을 표현하였고 중앙에는 크게 카르티무카〔鬼面〕를 그려 놓았다. 카르티무카는 파도 위의 기암괴석(套巖?石)에서 나온 가지를 양손으로 잡고 있다. 장의 양쪽 측면에는 보주가 감겨있는 당초문(唐草文)을 그려 넣고 그 안에는 몸을 세 번 비틀고 네 발에는 보주를 쥐고 있는 용이 하늘을 향해 오르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용의 주변에는 기암괴석 사이로 출렁이는 파도와 괴석 사이에서 나온 꽃과 잎이 가득한 나뭇가지가 표현되어 있다. 채색 표현된 문양들은 모두 가늘고 정교한 고분채색(高粉彩色)으로 되어 있다. 장의 표면에는 주칠과 채색을 했고‚ 내부에는 투명 칠을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