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불단장엄구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불단장엄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단(佛壇)을 장식(裝飾)하는 금속제(金屬製) 보살형(菩薩形)의 장엄구(莊嚴具). <유래 및 발달과정> 사찰의 법당 내부의 중앙에 안치하며‚ 나무‚ 금속 또는 돌로 수미산(須彌山) 형태의 단을 만들고 그 위에 불상을 안치하는 대좌를 불단(佛壇) 이라 한다. 수미산 형태의 대(臺) 위에 불상을 안치하는 것은 예로부터 인도에서 행해졌으며‚ 이 같은 수법이 중국‚ 우리나라 등 북방불교(北方佛敎)에까지 유행했다. 수미산의 정상에는 도리천궁(克利?宮)이 있으며‚ 불좌(佛座)를 수미좌로 만드는 것은 석가모니의 위모설법(爲母說法)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불상의 기원설화와도 관계가 있다. 어느 해 여름 석가모니가 어머니를 위하여 도리천에 올라가서 설법하느라 자리를 비워 이를 계기로 불상이 제작되었고 수미산을 불좌로 사용하기에 이른 것으로 짐작된다. 대체로 4각 또는 8각형으로 만들며‚ 우리나라에서는 8각형의 수미좌가 보편적이다. 6각형은 육바라밀(六波羅蜜)‚ 8각형은 팔정도(八正道)를 의미하며 정사각형의 사각은 동서남북을 상징하며 이들은 대부분 넓은 수미단 위에 놓이는 것이 원칙이다. 보통 수미단은 하대와 중대‚ 상대의 구분이 있으며‚ 이들 단은 중대부분이 좁아지고 하대와 상대는 층급을 지닌다. 원칙적으로는 상하에 16단의 소단(小段)을 지니도록 되어 있다. 이는 밀교에서 말하는 일체중생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는 대보리심(?菩提心)을 표시하는 것이라 한다. 또는 위로 향한 16단은 혜문(慧門)의 16대보살(?菩薩)을‚ 아래로 향한 16단은 정문(定門)의 16대보살을 표시하는 것이며 법계체성지(法界體?智)를 합하여 모든 금강계(金剛界) 37존(尊)을 표시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현존 유품은 상하대에 연꽃무늬 등을 복련(覆蓮)과 앙련(仰蓮)의 형식으로 배치한다. 또 중대부분에는 초화문(草花文) 등으로 화려하게 장엄하면서‚ 사슴 등의 길상수(吉祥?)를 그림이나 조각으로 배치한다. 때로는 격자문을 배치하고 연꽃문양을 놓기도 하고‚ 또는 물결문‚ 칠보문 등으로 장엄하기도 한다. 단상에 비로소 불상좌대(佛像座臺)인 수미좌를 설치하여 불상을 봉안한다. 6관음 중의 하나인 불공견삭관음보살(不空?索觀音菩薩)이 있다. 산스크리트어로 아모가파샤(Amogha pasa) 이다. 아모가란 불공(不空)을 말하는데 ‘헛되지 않음’‚ ‘확실한’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이 보살을 믿으면 모든 원(願)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생사대해(生死?涇)에 묘법연화(?法蓮花)의 미끼를 내리고 심념불공(心念不空)의 낚싯줄로 중생인 고기를 낚아 열반의 언덕에 이르게 한다는 관음이다. 이 보살은 일면사비(一面四臂)‚ 삼면사비(三面四臂)‚ 삼면육비(三面六臂)‚ 십면팔비(十面八臂)‚ 십일면이십비(十一面二十臂) 등의 모습을 하며‚ 밧줄로 짠 올가미인 견삭(?索)을 들고 있다. 견삭은 인도에서 전쟁이나 사냥할 때 쓰던 무기로 고리가 달려있는 밧줄로 된 올가미를 말한다. 이 올가미에 걸리면 누구도 빠져나갈 수 없는데‚ 관음은 이러한 살생과 억압의 무기를 거꾸로 자비를 베푸는 도구로 사용해서 중생을 낚으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섭법(四攝法)으로 사람들을 구제하는데‚ 아낌없이 베푸는 보시(布施)‚ 부드럽고 사랑스런 말인 애어(愛語)‚ 상대방에 도움을 주고 이익을 베푸는 이행(利行)‚ 기쁨과 슬픔 등 모든 것을 함께하는 동사(同事)의 네 가지 법으로 중생 속으로 들어가 모두를 빠짐없이 구제하는 것이다. 티베트에서 가장 일반적인 불공견삭관음보살은 사비관음(四臂觀音)이다. 사비관음은 『대승장엄보왕경』에 설명이 되어 있으며‚ ‘옴‚ 마‚ 니‚ 반‚ 메‚ 훔’의 여섯 글자의 진언을 지니고 있어 육자관음(六字觀音)이라고 불린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상부와 하부가 파손된 청동제 기둥형 장식구이다. 탑형 단 위에 화려한 보관과 귀고리‚ 영락을 몸에 두르고 있는 4비의 보살이 전면과 후면에 배치되었다. 두 보살은 항아리에서 꽃 모양의 물결이 내려오는 듯 표현된 단위에 연화대좌를 밟고 3곡의 자세로 서있다. 두 보살 모두 2비는 상부를 받치고 있으며 다른 2비는 전면의 보살은 연꽃을 후면의 보살은 천의 자락을 잡고 있다. 상 하 모두 다른 부분과 연결할 수 있게 침이 박혀있어 상‚ 하의 연결부위로 보이나 파손으로 인하여 자세한 용도는 알 수 없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