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금강령과 금강저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금강령과 금강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교의식(佛敎儀式)에 사용되는 불교용구(佛敎用具)의 일종(一種). <유래 및 발달과정> 발사라(跋?羅)‚ 벌절라(伐折羅)‚ 발왈라(跋曰羅) 등으로 음역하고‚ 금강지저(金剛智杵)‚ 견혜저(堅慧杵) 등으로도 의역된다. 저(杵)는 인도 고대의 무기 가운데 하나로 제석천이 아수라와 싸울 때 코끼리를 타고 전광(電光:번개)을 무기로 삼아 아수라의 무리를 쳐부순다는 신화에서 유래되었다. 여러 존상의 지물(持物)로서‚ 또는 수행의 도구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금강령(金剛鈴)과 한 짝이 되어 의식법구로서 사용된다. 우리나라의 밀교계 종파에서도 진언(眞言)을 외면서 금강저를 휴대하게 되었는데‚ 뜻은 금강과 같은 지혜로 마음속에 깃든 망상을 파멸시키고 지혜 광명을 발현시키려는 데 있다. 밀교의 만다라(曼茶羅)에는 금강부(金剛部)의 여러 존상이 모두 금강저를 지닌 것으로 되어 있다. 형태는 손잡이 양쪽이 뾰족한 독고(獸?)만 있는 것과‚ 양끝이 갈라진 수에 따라 2고저‚ 3고저‚ 4고저‚ 5고저‚ 9고저 등이 있다. 금강령(金剛鈴)은 불교가 발생한 인도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사용된 예가 없고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 금강저(金剛杵)와 함께 밀교 수행에서 사용되었다. 몸통은 종 모양이고 금강저 모양 손잡이가 달려 있다. 형태는 풍령(風鈴)과 같은 일종의 소종(小鐘)이다. 종신과 손잡이에는 여러 가지 장식문양을 나타내고‚ 특히 종신부분에는 주로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장상(護法神將像)이 표현되며‚ 보주(寶?)가 달린 것도 있고 탑이 달린 것도 있다. 보주가 달린 것은 보령(寶鈴)‚ 탑이 달린 것은 탑령(塔鈴)이라고 부른다. 손잡이 부분의 고리가 몇 개인가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티베트에서는 금강령과 함께 금강반(金剛盤) 위에 안치하여 밀교대단(密敎?壇)의 중앙 및 사방에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밀교의식에서는 오른손에 금강저를 왼손에는 금강령을 손에 들고 교차하는 상징적인 무드라를 취한다. 여기에서 금강저는 남성에너지를 상징하며 금강령은 여성에너지를 상징한다. 조선시대에는 티베트 불교의 이색적인 요소가 반영되어 손잡이 끝에 보살의 얼굴이 새겨진 금강령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 얼굴이 새겨진 령은 현재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절에서 불교의식이나 재(齋)를 올릴 때 의식법구로서 사용하며 요령(搖鈴)이라 부르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나무로 된 보관함 안에 금강령과 금강저가 함께 들어 있다. 보관함은 금강령과 금강저의 모양에 맞게 나무를 깎아 만든 것으로 금강령 상단에 금강저를 넣을 수 있게 만들었으나 상단부분 파손되었다. 보관함 외부는 나무 위에 면천을 붙인 후 채색하였으나 거의 박락된 상태이며 내부에는 푸른색을 칠한 흔적이 남아 있다. 금강령은 하단의 종과 상단의 금강저를 따로 만들어 붙여 놓은 상태로 종의 외각에는 영락을 표현하여 장식하였으나 마모가 심하여 자세히 알아볼 수 없다. 상단의 금강저도 마모가 심하며 특별한 문양은 없다. 함께 발견된 금강령은 보관함과 크기가 맞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한 세트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4고저의 금강저로 마모가 심하며 문양은 새겨지지 않았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김규현‚『티베트 문화산책』‚ 정신세계사‚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