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푸르바

추천0 조회수 2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푸르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단도형(短刀形)‚ 독고저(獸?杵) 형태의 불교의식구(佛敎儀式具). <유래 및 발달과정> 발사라(跋?羅)‚ 벌절라(伐折羅)‚ 발왈라(跋曰羅) 등으로 음역하고‚ 금강지저(金剛智杵)‚ 견혜저(堅慧杵) 등으로도 의역된다. 저(杵)는 인도 고대의 무기 가운데 하나로 제석천이 아수라와 싸울 때 코끼리를 타고 전광(電光:번개)을 무기로 삼아 아수라의 무리를 쳐부순다는 신화에서 유래하였다. 또한 인도의 여러 신과 역사(力士)들이 이 무기로써 적을 항복시킨다고 한다. 뒤에 밀교에서 적을 쳐부수는 의미로 이 무기를 불구(佛具)로 채용하여 여러 존상의 지물(持物)로서‚ 번뇌를 없애는 강한 의지의 보리심을 상징하거나‚ 휴대용 호신무기(護身武器)로 쓰이기도 했다. 금강령(金剛鈴)과 한 짝이 되어 의식법구로서 사용된다. 형태는 손잡이 양쪽이 뾰족한 독고(獸?)만 있는 것과‚ 양끝이 2‚ 3‚ 4‚ 5‚ 9 갈래로 갈라진 2고저‚ 3고저‚ 4고저‚ 5고저‚ 9고저 등이 있다. 최초에는 그 형태가 일종의 무기형으로 뾰족하고 예리하였으나 불구로 사용되면서 끝의 여러 가닥이 모아지는 형태로 바뀌게 되었다. 재료는 금‚ 은‚ 구리‚ 철 등의 금속이나 목제‚ 돌‚ 인골(人骨) 등이 사용되는데‚ 모양이나 크기 등이 법궤(法軌)에 따라 자세하게 정해져 있다. 이들 중 독고가 가장 오래된 형식이라 하며‚ 손잡이 좌우에 불꽃문양 형태를 조각한 경우 이를 보저(寶杵)라고 하고‚ 탑을 조각한 것은 탑저(塔杵)라고도 한다. 티베트에서는 푸르바(phurbu)라고도 하며 부적으로 이용된다. 의식에 사용할 때 작법을 하는 동안 오른손에 푸르바를 들고 왼손으로 갖가지 수인(手印)을 취한다. 또 티베트 달력으로 1월 14일에 열리는 가장 큰 불교행사인 ‘운남첸모제’ 행사에 다르마왕의 가면을 쓴 주인공이 ‘루애마’ 라는 희생제물을 자를 때 이 법구를 사용하거나 라마승이 승무를 출 때 사용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손잡이는 세 개의 분노형 얼굴 위에 마두(馬頭)가 있다. 그 아래로 오고저(五?杵)의 금강저가 있으며‚ 밑에는 말뚝이 있다. 말뚝은 각이 져있고 각 면에 뱀이 부조가 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