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태국 불좌상

추천0 조회수 2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태국 불좌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석가모니를 지칭하는 말이며 모든 법의 진리를 깨달아 중생(衆生)을 교화(敎化)하는 성자(聖者)를 의미하는 불(佛)을 표현한 상(像). <유래 및 발달과정> 엄격한 의미로는 부처의 존상만을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부처의 상은 물론 보살상(菩薩像)‚ 천왕상(??像)‚ 명왕상(明?像)‚ 나한상(羅漢像) 등을 모두 포함한다. 불상은 대부분 대좌(臺座) 위에 놓이며 상 뒤에는 광배(光背)가 있다. 불상은 인간의 형체를 빌려서 표현하지만‚ 그 부처가 상징하는 여러 초인간적인 성격이 신체적인 특징으로 나타나며 크게는 32상(三十二相) 80종호(八十種?)의 특징이 있어 보통의 인간의 표현과 구별이 된다고 한다. 부처의 법의는 대개 두 어깨를 덮는 통견(通肩) 형식과 한쪽만을 덮는 편단우견(偏袒右肩) 형식으로 구분된다. 자세‚ 손의 모습(手印)‚ 지물에 따라서도 그 불상의 성격을 알 수 있다. 불상이 처음 조성된 시기는 1세기경인 인도의 쿠샨 왕조(Kushan?朝) 시대였다. 그 이전 수 세기 동안에는 부처의 전생의 선행을 이야기한 본생담(本生譚) 등 여러 가지 상징적인 형태로 표현되어 숭앙되었으며 이러한 단계를 무불상(無佛像) 표현 시대라고 한다. 인도의 불상은 굽타(Gupta) 시대에 이르러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불상 표현이 이루어졌다. 12세기 이후에는 인도에서 불교문화가 거의 자취를 감춘 대신 남으로는 해로(涇路)로 실론과 동남아 지역으로 퍼져 갔다. 북으로는 육로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동전(東傳)하면서 발전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얼굴은 둥글고 길며 반개한 눈에 긴 코‚ 두터운 입술은 끝이 올라가 있다. 머리는 나발(螺髮)을 표현하고 육계(肉?) 상단에는 띠를 두른 연봉형(蓮峯形) 계주(??)가 있다. 귀는 길고 크며 밖으로 살짝 말려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다. 어깨는 살짝 둥글게 내려오며 결가부좌한 발 위에 선정인(禪定印)을 취한 두 손을 올려놓았다. 손 위에는 법라(法螺)가 놓여있다. 편단우견(偏袒右肩)의 얇은 대의(?衣)는 가는 주름을 만들면서 불신(佛身)을 휘감고 내려온다. 삼각형의 대좌 하단에는 복련형(覆蓮形)으로 투각(透刻)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음각선(陰刻線)으로 장식하였다. 불신 전체에 금박을 입혔으나 대부분 떨어져 나갔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May‚ Reginald Le?著‚ 山田滿里子 譯‚『東南アジアの佛敎美術』‚ 東京: 明石書店‚ 199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