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라오스 기와편

추천0 조회수 6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라오스 기와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건축재(建築材)의 하나로 지붕을 덮는 소조(塑造)의 방수마감재(防水磨勘材). <유래 및 발달과정> 양질의 점토를 재료로 모골(模骨) 및 와범(瓦範) 등의 제작틀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에‚ 가마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서 제작한다. 원래 목조건물의 지붕에는 이엉이나 볏짚‚ 그리고 나무껍질 같은 식물성 부재를 사용하였는데 내구력이 약하기 때문에 방수효과가 좋고 강도가 높은 반영구적인 점토소성품(粘土燒成品)인 기와가 출현하게 되었다. 점토제 기와의 기원은 바빌론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고대 그리스 시대와 로마에서도 존재하였다. 목조건물에 기와를 덮는 풍습은 고대 동양건축의 특색 중의 하나로 중국 주대(周代)부터 시작되었다. 중국의 문헌인 『고사고(古史考)』에 ‘하나라 때 곤오 씨가 기와를 만들었다.’라는 기록이 있고‚ 약 3천 년 전 주나라 때 사용된 기와가 현재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진나라와 한나라에 이르러 기와가 매우 성행했던 점을 통하여 기와의 기원을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춘추시대 말에는 수키와〔圓瓦 (원와)〕와 암키와〔平瓦 (평와)〕가 형성되었고‚ 전국시대에는 타원형의 막새기와[瓦當 (와당)]를 붙이기 시작하였으며‚ 진(秦)‚ 한대(漢代)에는 원형 와당이 널리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낙랑시대(樂?時代)에 건물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기와의 재료에 따른 분류는 찰흙을 반죽하여 구워 만든 토기와‚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만든 시멘트기와‚ 금속판으로 가공 성형한 금속기와도 있다. 토기와에는 무유와(無釉瓦)와 시유와(施釉瓦)가 있는데‚ 무유와 중에서 저온으로 구운 것을 적와(赤瓦)라 하고‚ 완전히 구워지기 전에 솔잎연기로 구운 것을 훈와(燻瓦)라고 하며‚ 빛은 흑회색이다. 시유와는 고온에서 완전히 구워지기 전에 식염을 뿌려 빨갛게 구운 것으로‚ 흡수율(吸水率)이 적다.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가장 기본적이고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지붕에 씌워 기왓등과 기왓골을 형성하여 눈과 빗물에 대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수키와와 암키와이다. 대부분의 수키와와 암키와는 원통형의 목제 모골의 외측(?側)에 포목을 감고 진흙을 다진 점토판(粘土板)을 씌워 방망이 같은 고판(叩板)으로 두들겨 얼마 동안의 건조 기간을 거친 다음에 와도(瓦刀)로 2분하거나 3분 또는 4분하여 제작한다. 형태에 따라 기와의 끝에 언강이라고 부르는 낮은 단(段)이 있어서 미구(수키와의 층이 져 나온 끝 부분)가 내밀고 있는 유단식(有段式)과‚ 언강과 미구가 없는 토시형의 무단식(無段式)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그 표면에 선(線)‚ 승석(繩蓆)‚ 격자(格子)‚ 화엽(花葉) 등의 고판무늬가 장식되고 있다. 그러나 간혹 절 이름‚ 제작기호‚ 제작연대‚ 사용처 등이 압인(押印)되거나 새겨져 있어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막새는 지붕의 추녀 끝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와로 수키와 끝에 원형의 드림새〔垂板 (수판)〕가 부착된 수막새〔圓瓦當 (원와당)〕와 암키와 끝에 장방형의 드림새를 부착한 암막새〔平瓦當 (평와당)〕로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형의 기와 이외에 용마루의 양쪽 끝에 높게 장식된 치미(?尾)‚ 각 마루 끝에 벽사(陽邪)의 의미로 사용되는 귀면기와‚ 그리고 각 마루를 쌓아 올리는 적재〔堤瓦 (제와)〕‚ 마루 밑의 기왓골을 막는 착고기와〔着固瓦 (착고와)〕‚ 서까래의 부식을 방지하고 이의 치장을 위한 서까래기와〔椽木瓦 (연목와)〕‚ 각 마루의 추녀 밑의 네모난 서까래에 사용되는 사래기와 등이 있다. 또한‚ 암막새 2매를 접합하여 제작한 모서리기와〔隅瓦 (우와)〕‚ 지붕의 처마가 ㄱ자 모양으로 꺾인 회첨(會擔)에 사용되는 타원수막새〔楕圓瓦當 (타원와당)〕와 이와 조합되는 특수한 암막새‚ 귀면기와의 상단에 얹혀져 건물의 곡선미를 강조하여 주는 굽은 형태의 특수기와‚ 건물 내부의 닫집이나 조그만 건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이는 소형 막새도 있다. 그리고 1매의 암키와를 대각선 방향으로 2분하거나 종횡으로 여러 번 분할하여 제작한 왕지기와〔三角平瓦 (삼각평와)〕와 사변형의 방형기와가 있고‚ 지붕 이외의 장소에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특이한 형태의 녹유기와〔綠釉瓦 (녹유와)〕 등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와의 종류 가운데 방수성이나 내구성을 지닌 본래의 기능 외에 기와집의 경관과 치장을 돋보이게 하려는 새로운 건축의장의 발달에서 생겨난 것으로 볼 수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우리나라의 숫막새에 해당하는 기와편으로‚ 드림새에는 세 줄의 융기선(隆起線) 안에 인물상이 조각되어 있다. 이 인물은 두 손을 모아 합장(合掌)하고 머리에는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양옆으로 펼쳐진 꽃잎에서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아‚ 마치 연화화생(蓮花化生)을 하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인물의 옆에도 연봉형(連峰形인)의 문양이 새겨져 있다. 기와편의 양 측면 일부분과 윗부분은 파손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May‚ Reginald Le?著‚ 山田滿里子 譯‚『東南アジアの佛敎美術』‚ 東京: 明石書店‚ 199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