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종고리

추천0 조회수 64 다운로드 수 7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종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금속(金屬)으로 만들어진 타악기(打樂器)를 종대(鐘臺)와 연결시키는 부재(部材). <유래 및 발달과정> 종(鐘)은 주로 금속으로 주조하여 때리거나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데‚ 신호용(信號用)으로 쓰이기도 한다. 발음체(發音體)가 공명체(共鳴體)를 겸하는 체명악기로‚ 큰 컵을 거꾸로 매단 형상이다. 당목(撞木)‚ 망치 등으로 겉면을 두드리는 방식과 탁(鐸)과 같이 안에 매단 추를 흔들어 종의 안벽을 쳐서 소리를 내는 방식이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대개 대형종은 당목식(撞木式)‚ 소형은 추를 단 형태이지만 유럽에서는 추를 단 것이 주류를 이룬다. 용도가 한정된 음악 연주용 외에는 대부분 시각을 알리거나 신호를 보내는 데 쓰여서 시각을 알리는 시종(時鐘) 및 비상사태를 알리는 경종(警鐘)으로 구분된다. 또한 종교적으로도 특별한 의미를 지녀 재해‚ 질병‚ 악귀 등을 쫓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세계 각지에 전하는 민속전통의 종을 보면‚ 초기에는 흙‚ 나무 등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였으나 야금(治金)‚ 주금(鑄金) 기술의 발달과 함께 철‚ 동합금 등의 것이 주류를 이룬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종대(鐘臺)와 종(鐘)을 고정시키는 종고리로서 소형(小型)의 동종(銅鐘)을 거는데 사용되었다. 고리는 말굽형으로 양옆에 천인상(?人像)이 조각되어있다. 고리중간에는 연꽃이 피어있고 종고리를 이 두 사람의 등 뒤에서 나온 날개로 감싸고 있다. 천인의 보발은 소라처럼 틀어 올라가 머리끝에 보주장식(寶?裝飾)이 있는 띠를 하고 있으며 두 눈은 지그시 감고 있다. 옷은 마치 나뭇잎 장식이 되어 있고 점문(點文)이 음각(陰刻)된 천의(?衣)가 양팔 사이를 휘감아 종고리를 타고 위로 바람에 흩날리듯이 올라가고 있다. 종고리는 청동제(靑銅製)로 만들어졌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May‚ Reginald Le?著‚ 山田滿里子 譯‚『東南アジアの佛敎美術』‚ 東京: 明石書店‚ 199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