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맷돌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맷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곡물(穀物)을 가루로 만들고 팥·콩·메밀·녹두 등을 거칠게 타거나 물에 불린 콩을 가는 데 쓰는 용구. <유래 및 발달과정> 위‚ 아래 두 짝으로 구성되며‚ 아래짝 가운데에는 중쇠(또는 수쇠)를‚ 위짝에는 암쇠를 박아 끼워서 서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ㄱ’ 자 모양의 맨손(손잡이)은 위짝 구멍에 박으며 칡이나 대나무로 테를 메워 고정시키기도 한다. 위짝에는 곡식을 집어넣는 구멍이 있으며‚ 아래짝 위에는 곡물이 잘 갈리도록 하기 위하여 판 홈이나 구멍이 있다. 또 풀매라고 하여 고운 돌로 조그맣게 만든 것도 있다. 아래짝은 아예 매판에 붙여 만들며‚ 갈려진 물질이 흘러 떨어지도록 주둥이가 달린 채 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맷돌은 모시나 명주에 먹일 풀을 쑤기 위한 쌀을 갈 때 또는 잣죽이나 깨죽의 원료를 만들 때 쓴다. 강원도 산간에서는 통나무로 만든 나무맷돌을 쓰기도 하고‚ 제주도에서는 네 사람이 함께 돌리는 대형맷돌을 쓰기도 한다. 맷돌에 곡물을 갈 때에는 큰 함지에 맷돌을 앉히고 두 사람이 마주앉아 한 사람은 곡물을 위짝 구멍에 떠 넣고‚ 한 사람은 위짝을 돌리면서 간다. 특히‚ 마주앉은 두 사람의 호흡이 잘 맞아야 곡물이 알맞게 잘 갈린다. 맷돌에는 이를 올려놓고 쓰는 얕은 전이 달리도록 짚으로 결은 맷방석과 큰 통나무를 파서 만든 매함지‚ 매판에 맷돌을 앉힐 때 고이는 맷돌다리 등이 필요하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2개의 돌이 위아래로 1조를 이루고 있다. 윗돌은 원통형(圓筒形)으로 돌을 돌리기 쉽도록 맷돌자루를 끼우는 홈과 콩을 넣는 관통된 구멍이 있다. 아랫돌에는 윗돌 구멍을 통해 들어온 콩을 갈아내고‚ 아랫돌 외곽엔 홈이 있어 갈린 콩 물이 아랫돌의 홈을 따라 흐르도록 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