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조나한상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조나한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교의 수행을 완성하여 공양‚ 존경을 받을만한 성자를 표현한 상(像) <유래 및 발달과정> 나한은 미륵불이 나타날 때까지 열반에 들지 않고 이 세상에 살면서 불법수호의 사명을 위임받은 사람들이다. 인도에서는 불교의 삼보(三寶)신앙과 함께 나한에 대한 신앙이 성행하였고 중국과 우리나라의 경우 선종(禪宗)의 발달과 함께 나한숭배(羅漢崇拜)가 이루어져‚ 일찍이 반승의식(飯僧儀式)‚ 나한재(羅漢齋) 등이 이루어졌다. 중국은 육조시대부터 그림으로 그려졌고 당대에는 현장에 의해 『법주기(法住記)』가 번역됨으로써 십육나한의 신앙이 시작되었으며‚ 이름난 고승들을 모델로 하여 나한의 도상(圖像)이 형성되었다. 우리나라의 나한신앙의 전래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은 보이지 않지만‚ 『삼국유사(三國遺事)』나 금석문(金石文)을 통해 당 말 오대 시기의 나한신앙이 신라 후기에는 전래 내려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가모니의 십대제자를 비롯한 십육나한‚ 오백나한까지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고려에서는 923년 태조가 양나라에 보낸 사신 윤질(尹質)이 5백 나한상을 가지고 귀국한 뒤 해주 숭산사(崇山寺)에 봉안(?安)하고‚ 1053년 문종이 신광사(神光寺)에서 나한재(羅漢齋)를 베푼 것을 시작으로 무려 28회의 나한재를 열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사원마다 응진전(應眞殿)을 갖추고 16나한을 봉안하여 예배하였는데 나한상과 함께 나한도를 봉안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결가부좌(結跏趺坐)를 취하고 명상(冥?)하는 듯 고개를 살짝 숙인 형태의 좌상(坐像)이다. 채색은 많이 박락(剝落)되었으나 남아있는 것으로도 이전의 상태를 가늠할 수 있다. 검은 두발(頭髮)에 흰 얼굴이며 가사(袈裟)의 색상은 녹색과 붉은색으로 되어 있고‚ 내의(內衣)가 목 앞으로 나와 있다. 널찍한 이마‚ 부드럽고 동그란 얼굴형에 이목구비를 오목조목하게 조각했다. 길고 통통한 귓불‚ 두툼한 눈두덩이‚ 살짝 지은 엷은 미소에서 온화함을 느낄 수 있다. 양손은 따로 제작되어 끼울 수 있도록 하였다. 오른손은 앞으로 살짝 들어올려 엄지와 검지를 결하고 중지와 약지는 구부리고 새끼손가락은 앞으로 펴고 있다. 검지와 약지는 손가락 끝이 부러져 없는 상태이다. 왼손은 무릎 위에서 가지런히 모아 앞을 향해 내밀고 있다. 나한상(羅漢像)의 등에는 사각형으로 뚫은 뒤 복장유물을 넣고 뺄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