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제반상기

추천0 조회수 8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제반상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반상(飯床)차림에 쓰는 격식화(格式化)된 식기(食器). <유래 및 발달과정> 반상이란 밥‚ 국‚ 찌개‚ 김치‚ 간장‚ 초간장‚ 초고추장‚ 반찬으로 구성되는 상차림이며‚ 반상기(飯床器)도 규범에 맞추어 일습(一襲)이 갖추어져 있다. 현존하는 반상기의 일습은 조선시대 때 갖추어진 것이지만 밥과 반찬으로 구성된 양식이 형성된 시기는 늦어도 삼국시대 후기로 추정되며‚ 이는 삼국시대의 유물이나 고려시대의 유물에 있는 완‚ 발‚ 합 등이 조선시대의 주발‚ 국대접으로 그 형태가 이어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반상기는 밥그릇‚ 국그릇‚ 숭늉 대접과 둥근 쟁반‚ 김치보 각 1개‚ 조치보 1‚ 2개‚ 종지 1∼3개‚ 반찬 그릇 3∼12개로 일습을 이룬다. 밥그릇에는 주발과 바리가 있다. 주발은 남자용으로서 몸체가 직선형이며 저변이 약간 좁은 모양이다. 바리는 여자용으로서 구경보다 복부와 저변부가 둥근 곡선형이다. 모두 뚜껑이 있다. 국 대접과 숭늉 대접에는 남자용은 직선에 가깝고 여자용은 곡선형이다. 김치보의 모양은 반찬 그릇과 같지만‚ 용량이 반찬 그릇의 2배 정도이며 뚜껑이 있다. 조치보는 김치보와 같은 모양이나 더 크다. 종지는 반찬 그릇과 같은 모양이나 용량이 적다. 반찬 그릇은 주로 오목한 형태이며 뚜껑이 있다. 반상기의 큰 특징은 대접을 제외하고는 모두 뚜껑이 있는 점인데‚ 이는 우리의 음식이 따끈할 때 먹어야 좋기 때문에 음식이 식지 않도록 하려는 배려에서 생긴 것으로 추측된다. 반상기는 여러 재료로 다양하게 제작되며‚ 놋쇠로 만든 반상기를 유제반상기(鍮製飯床器)라 부른다. 유제는 놋쇠로 만든 것으로 구리에다 주석이나 아연‚ 니켈을 섞은 합금으로 청동기시대의 청동도 놋쇠의 일종이다. 식기를 비롯하여 촛대‚ 향로‚ 소반‚ 대야‚ 악기‚ 불구(佛具) 등 다양한 일상생활 용품이나 기구를 만드는데 이용되었다. 이러한 유기제작기술은 당나라에서 유입되었으며‚ 그 영향을 받은 신라에서는 8세기경에 철유전(鐵鍮典)이라는 상설기구를 설치하였다. 고려시대에는 놋쇠가 평민층까지 확산되어 각종 생활용기 및 농기구나 불구가 놋쇠로 제작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초기부터 국가에서 동을 채굴하여 유기 생산을 장려하였다. 6‚25전까지는 개성‚ 안성을 비롯하여 김천‚ 남원‚ 운봉‚ 전주‚ 홍성‚ 박천‚ 평양‚ 사리원‚ 정주‚ 서울 등지에서 놋그릇을 많이 만들었으나 6‚25 이후 연탄이 사용되면서 연탄가스에 변질되기 쉬운 놋쇠의 성질 때문에 점차 없어지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유기 제작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불에 녹인 쇳물을 일정한 틀에 부어서 만들어 내는 방법인 주물법‚ 정확하게 78%의 구리와 22%의 주석을 합금한 우리나라 특유의 금속 기법인 방짜유기법‚ 그리고 주조 기법과 방짜기법을 절충한 방법인 반방짜기법이 있다. 반방짜기법은 전라남도 순천 지방에서 제작하는 오목한 형태의 식기를 만드는 기법이다. 방짜란 질이 좋은 놋쇠를 제작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조선조 중엽에 이르러 그 수요가 늘어나자 손으로 일일이 두드려서 만들었던 방짜기법 대신 손쉬운 주물 기법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광복 이전만 해도 방짜기법으로 만든 것만을 최고로 쳤다. 특히 놋그릇의 본산지였던 평안북도 정주에서는 양대(방짜) 유기점은 놋점‚ 주물 유기점은 퉁점 이라고 구분해서 불렀으며 또 놋쇠로 만든 그릇은 놋성기(成器)‚ 퉁쇠로 만든 그릇은 퉁성기 라고 구분해서 불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크기가 2종류인 유개그릇과 무개그릇‚ 수저와 젓가락으로 이루어진 반상기이다. 유개그릇의 뚜껑은 중앙이 살짝 올라와 있으며 융기선(隆起線)으로 장식하였다. 그릇 표면에는 기계로 다듬어 마무리한 주조흔(鑄造痕)이 남아있다. 수저는 이와 다르게 표면을 두드려서 만들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