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시왕도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시왕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지장보살도의 한 형식으로 명부(冥府)를 관장하는 시왕(十?)들의 재판(裁判)모습과 지옥에서 고통받는 망자(亡者)들을 표현한 불화(佛畵). <유래 및 발달과정> 시왕에 대한 개념은 인도의 브라만교의 명부신앙이 불교 속으로 들어와 체계화된 후 중국 도교의 명부신앙과 결합되어 성립된 것으로 당 말 오대 『불설예수시왕생칠경(佛說豫修十?生七經)』이 편찬됨에 따라 하나의 완전한 신앙체계를 이루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당대 이후 시왕경변상도(十?經變相圖)가 나타나는 등 시왕신앙이 성행하였으며 이때 시왕에 대한 도상이 당대의 도사인 장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하는 『석문정통(釋門正統)』의 기록은 이 시기에 시왕도상이 성립되었음을 말해준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 초에 시왕신앙이 소개되었고 본격적인 시왕신앙은 고려시대에 성행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명부전 안에 시왕도가 봉안되는 등의 다양한 시왕신앙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시왕의 명부심판관적인 특성을 강조시켜 독립된 신앙형태로 발전시킨다. 이에 따라 시왕은 명부전에 자리 잡게 되었고 시왕상과 시왕도의 제작도 더욱 성행하였다. 보통 중앙에 지장삼존을 중심으로 왼쪽에 1.3.5.7.9왕‚ 오른쪽에 2.4.6.8.10왕의 그림을 배치한다. 형상은 분노형의 얼굴에 공복을 입고 원유관을 쓰고 손에는 홀을 쥐고 있으나 제 10대왕인 전륜대왕만은 투구와 갑옷을 입은 장군의 모습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지장시왕도(地藏十?圖) 중의 한 폭인 제5대 염라대왕(閻羅??)의 재판 광경을 그린 것이다. 화면의 상단에는 염라대왕의 재판장면‚ 하단에는 지옥의 장면을 그렸다. 상단은 5폭 병풍을 배경으로 면류관(冕旒冠)을 쓴 흰 수염의 염라대왕이 중앙에 크게 묘사되고‚ 권속들이 주변에 표현되어 있다. 염라대왕의 책상 앞에는 4명의 판관(判官)이 서 있으며‚ 우측에는 무엇인가 기록하고 있는 녹사(綠事)‚ 좌측에는 삼지창(三枝創)을 든 사자(使者)‚ 그리고 그 뒤로 다양한 번(幡)을 들고 있는 시녀와 동물머리를 괴수들이 재판을 기다리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화면 하단은 구름을 경계로 지옥의 장면이 그려져 있다. 이와 같이 대왕의 재판장면이 화면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강조되고‚ 하단의 지옥 장면을 작게 표현하는 것은 시왕도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구도의 특징이다. 또한 이 시기 염라대왕의 지옥 장면은 지옥에 끌려온 자를 방아에 찢는 장면이 주로 표현된다. 이 그림에서도 ‘좌침지옥(?砧地?)’이라고 기록하고‚ 방아의 끝에 뾰죽뾰죽한 돌을 매달고 아래의 통에는 두 명의 죄인을 방아 찧으려는 장면이 그려지고 있다. 그 바로 옆에서는 업경대(業鏡臺)에 죄인의 죄과가 비춰지고 그것을 기록하는 녹사와 시녀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좌측에는 지장보살이 합장한 모습‚ 그 뒤로는 사자가 말을 타고 죽은 자를 데리려 가는 장면 등을 묘사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황색계열의 색으로 채색되었으며 볼이나 피부에 명암을 넣어 입체감을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