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의겸등필수월관음도

추천0 조회수 6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의겸등필수월관음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관음보살도(觀音菩薩圖)의 하나로 물가에 앉아 달을 쳐다보는 관음보살의 모습을 그린 불화(佛畵). <유래 및 발달과정> 관음은 보통 물가의 바위에 반가좌(半跏座)의 자세로 앉아 있으며‚ 손에는 버들가지나 정병(?甁)을 쥐고 있거나 옆에 정병을 두고 있는 모습이다. 관음보살의 뒤쪽에는 기괴한 절벽과 대나무 등을 배치하고 발아래에는 연꽃과 산호초 등이 장식되어 있다. 이러한 장면은 『화엄경(華嚴經)』입법계품(立法界品)에서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보타락가산에 거주하는 관음보살을 친견하는 장면을 도상화한 것이다. 『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와 『당조명화록(唐朝名畵錄)』의하면 중국 당대의 화가 주방(周昉)이 수월(水月)의 양식을 창안하였으며‚ 원광(圓光)과 대나무가 표현된 수월관자재보살(水月觀自在菩薩)을 그렸다고 전한다. 돈황에서는 당 말 오대 이후 수월관음도상이 유행하여 송‚ 원대에 이르기까지 유행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다.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확인된 것은 30여 점이 남아 있으며‚ 도상은 기본적으로 중국의 영향을 받았지만 중국과는 달리 버들가지가 꽂힌 정병이 옆에 그려지고 발아래 선재동자가 빠짐없이 등장하며‚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볼 수 없는 『법화경(法華經)』의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중 제난구제상(諸難救濟像)과 같은 도상이 표현되는 경우도 있어 이미 독자적인 양식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도 계속 조성되었지만‚ 불화로 조성된 예는 많지 않고 대웅전 등 전각의 후불벽 뒷면에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려시대와는 달리 정면관이 대부분이며‚ 관음보살의 투명한 사라(紗羅)가 백의(白衣)로 바뀐 점도 특징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고려시대에 제작된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의 도상(圖像)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조선시대에 들어와 새롭게 변형시킨 작품이다. 화면 중앙에는 관음보살이 바위 위에 길상초(吉祥草)를 깔고 그 위에 반가좌(半跏坐)로 앉아 있다. 오른쪽에는 버들가지가 꽂힌 정병(?甁)이 놓여 있으며 위에는 극락조(極樂鳥)가 한 마리 있다. 아래에는 합장(合掌)하고 있는 선재동자(善財童子)가 있다. 왼쪽에는 두 그루의 대나무가 있다. 관음보살은 머리에 구슬로 장식된 화려한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목걸이의 양쪽에는 구슬 장식이 달린 적색의 띠가 무릎 아래까지 내려온다. 손목과 팔에는 화려하게 영락(瓔?)으로 장식된 팔찌가 있다.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고 짜임새 있는 구성을 보이며 천의의 흐름에서는 도식적(圖式的)인 기법이 보인다. 색채는 두광(頭光)과 허리띠는 녹청색을 띠고 있고‚ 다른 부분은 주로 붉은색‚ 청남색 등을 주조색(主調色)으로 사용하여 밝고 화려한 느낌을 주고 있다. 이 관음도는 동일 화사(畵師)인 의겸(義謙)에 의하여 그려진 운흥사소장수월관음도(雲興寺所藏水月觀音圖)와 유사하지만‚ 보다 우아하고 세련된 형태와 밝고 선명한 색채를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화기(畵記)에 의하면 의겸(義謙)‚ 진행(陳行)‚ 행종(幸宗)‚ 채인(采仁)‚ 석인(釋仁)의 화사(畵師)가 이 불화제작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