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천수경탑판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천수경탑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다라니경』의 줄임말로 관세음보살이 부처에게 청하여 허락을 받고 설법한 경전. <유래 및 발달과정> 중국 송나라의 사명존자(四明尊者)가 널리 유포했고‚ 한역본은 당나라 가범달마(伽梵達磨)의 번역본 등 10여 종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중기부터 유통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는 가장 많은 판본을 남기면서 크게 신봉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독송하고 있는 것과 유사한 형식의 `천수경`은 조선 성종 7년(1476)에 최초로 『천수천안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이 간행되어 오늘날 독송하는 `천수경`의 모체가 되었다. 그러나 이 경의 중심을 이루는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는 현존하는 범어 원본과 많은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천수경』은 이 천수다라니 앞과 뒤로 정구업진언(?口業眞言) 등의 진언과 개경게(開經偈)‚ 대다라니계청(?陀羅尼啓請)‚ 사방찬(四方讚)‚ 도량찬(道場讚)‚ 참회게(懺?偈)‚ 준제주(准提呪)‚ 여래십대발원문(?來十?發願文)‚ 사홍서원(四弘誓願)‚ 귀명삼보(歸命三寶)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경전을 완전히 의식경전으로 탈바꿈시킨 것이다. 다라니의 내용은 관세음보살과 삼보(三寶)에 귀의한 뒤 속히 악업(?業)을 그치게 하고 탐욕(貪欲)과 진애(瞋迷)와 우치(愚痴)를 움직이는 독(毒)을 소멸하게 하여‚ 각(覺)을 이루게 해줄 것을 기원하는 것을 골격으로 하고 있다. 밀교적 성격이 강한 경전으로 오늘날 일반 신자들에게 가장 많이 독송되는 경전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윗부분에 전서(篆書)로 ‘천수경탑(千手經塔)’이라고 쓰여 있다. 인쇄용 목판이며‚ 판에 새겨진 탑이 세밀하고 정교하다. 3장의 목판을 연결해서 만들었다. 2층 보탑이며 1층 탑신(塔身)의 표현이 독특하다. 탑의 상단에는 연화대좌(蓮花臺座)에 앉아 있는 여래상(?來像)이 한 구 있다. 여래는 가슴에 만(卍)자가 있으며‚ 대의(?衣) 안에 손을 넣고 있다. 탑의 상륜부(相輪部)도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 탑신의 옥개석에는 풍탁으로 보이는 종이 달려 있다. 기단부는 안상형(眼象形)다리로 세밀하게 묘사하였다. 판의 좌측에는 ‘世尊應化二千九百五十九年 萬日會 二十週年記念(세존응화이천구백오십구년 만일회 이십주년기념)’이 새겨져 있어 이 목판이 제작된 경위를 알 수 있다. 목판에 인쇄할 때 사용했던 경면주사(鏡面朱砂)가 그대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