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감실

추천0 조회수 4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감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신위(神位) 및 작은 불상‚ 영정(影幀) 또는 성체(聖體) 등을 모셔둔 곳. <유래 및 발달과정> 불교의 불상이나 유교의 신주(神主)‚ 기타 갖가지 안치물을 봉안하기 위하여 만든 건축 공간이다. 원래 집이나 방의 공간을 뜻하는 것으로‚ 건물보다는 작은 규모의 공간을 가리킨다. 감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벽감(壁龕)‚ 둘째 건축 형태의 감실(龕室)‚ 셋째 공예적 감 등이다. 벽감은 벽면에 마련된 작은 공간으로 부조(?彫)나 조각상‚ 또는 기타 등잔 같은 공예품을 안치하는 곳이다. 벽감은 다시 형태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보주형(寶?形)‚ 무지개형‚ 상자형(箱子形)이 있다. 다음으로 감실은 주로 건물형태의 감(龕)을 이르는 것으로‚ 이른바 전각형(殿閣形)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밖에도 돌아가신 분의 위패‚ 즉 신주를 모신 방을 말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신탑(神榻)과 독대(芹臺(근대) : 신주를 모신 나무그릇을 안치한 대) 등을 갖추고‚ 바닥에는 황화석(黃花席:누런 국화꽃 무늬를 놓은 돗자리)을 깔고 방 앞에 봉막(烽幕) 또는 유막(?幕)을 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공예적 감은 신불(神佛)을 봉안하여 이동하기 쉽도록 만든 작은 감을 말한다. 형태에 따라 전각형‚ 포탄형‚ 상자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불상을 봉안한 불감(佛龕)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사리기(舍利器)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안양암 금륜전(金輪殿)에 봉안된 화려한 형태의 감실이다. 수명연장을 위해 무명천과 실을 감실에 담아 삶과 죽음 관장하는 칠성신(七星神)에게 바쳤다. 기벽이 얇으며 세 면에 흑칠(黑漆)을 하여 마감하였다. 윗부분은 구름의 형상으로 내부를 금색 테두리가 둘러진 백운문(白雲文)으로 장식하였다. 아랫부분은 연당초문(蓮唐草文)으로 꾸미고‚ 가장 하단부는 안상(眼象)을 두어 변화를 주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