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아미타경판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아미타경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정토신앙(?土信仰)의 근본 경전으로 『무량수경(無量壽經)』‚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과 함께 정토삼부경(?土三部經)을 이룸. <유래 및 발달과정> 『일체제불소호념경(一切諸佛小護念經)』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미타경』‚『호념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해오는 한역서(漢譯書)에는 구마라습(鳩摩羅什)의 『아미타경』과 현장(??)의 『칭찬정토불섭수경(稱讚?土佛攝受經)』‚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소무량수경(小無量壽經)』이 있다. 이 경에 관한 연구는 신라시대에 활발히 이루어져서 많은 주석서를 남겼지만‚ 고려 이후 특히 조선시대에는 교학적인 연구보다는 경 자체를 그대로 수용하여 독송하고 실천하는 쪽으로 기울어졌다. 또한‚ 이 경에 근거하여 많은 염불회(念佛會)가 개최되었고‚ 경의 유포가 큰 공덕을 지닌다 하여 수많은 판본이 간행‚ 유포되었다. 내용은 석가가 기원정사(祇圓精舍)에서 제자 사리불(舍利弗)을 상대로 하여 아미타불과 그가 머물고 있는 서방정토(西方?土)인 극락세계의 공덕과 장엄을 설명하고‚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면 극락세계에 왕생(往生)한다고 설법한 내용이 주요 골자인데‚ 끝에 가서는 신화적인 묘사로 여러 방면의 많은 부처들이 석가모니의 이 말이 진실임을 증명하며 특별히 왕생을 권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한문본(漢文本) 총 25점으로 상‚ 하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과 상‚ 하권 1에 각각 1162년〔紹興壬午 (소흥임오)〕에 남송(南宋)의 왕일휴(?日休)가 서(序)를 쓰고 교정(校定)했음을 밝히고 있다. 총 56가지의 분(分)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권은 법회대중분(?會?衆分) 제1에서 수음묘락분(樹音?樂分) 제24까지‚ 하권은 자연음식분(自然飮食分) 제25에서 정법난문분(正法難聞分) 제56까지를 담고 있다. 하권의 마지막 부분에 ‘안양암주지이태준장판(安養庵住持李泰俊藏板)’ 이라고 새겨진 나무 조각을 홈을 판 후 끼워 넣었다. 또한 56명의 시주자를 나열한 판을 별도로 만들었다. 간기(刊記)를 통해 1882년〔光緖壬午 (광서임오)〕에 당시 왕실 원찰(願刹)이었던 고령산 보광사에서 제작〔古靈山普光寺識 (고령산보광사식)〕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