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감마애관음보살상

추천0 조회수 6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감마애관음보살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암벽(岩壁)이나 동굴 안에 조각(彫刻)으로 관음보살을 표현한 상(像). <유래 및 발달과정> 마애불상(磨崖佛像)의 기원은 서아시아‚ 이란 고원 등의 부조석조유물(?彫石彫遺物)의 영향을 받아 BC 3∼2세기 무렵 인도에서 시작되었다. 바자(Bhaja) 석굴의 태양신 수리야의 양각상(陽刻像)을 비롯하여 굽타왕조시대의 데칸고원 남서부에 만들어진 아잔타(Ajanta) 석굴‚ 엘로라(Ellora) 석굴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후 석굴사원은 매우 빈번하게 조성되었고 그 시기는 5세기경으로 볼 수 있다.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중국 산동 지방의 운문산 석굴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마애불의 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인도와는 달리 완전한 석굴이 아닌 화강암 재질의 대형 바위나 절벽 또는 돌기둥 같은 곳에 감실(龕室)을 파고 마애불을 조성하였다. 이는 양질의 화강암지대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마애불은 ‘화강암 마애불’이라는 명칭으로 불릴 만큼 세계적으로 독보적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석감(石龕)에 안치되어 있는 관음보살상은 순종3년(1909년)에 돌을 쪼아 만든 마애불상이다. 불상 양옆의 두 개의 기둥이 있는데 기둥의 상단은 원통형 기둥이며 중단부터는 8각 기둥인데‚ 연잎이 돌기둥을 감싸듯 조각되어 있다. 보관 중앙에 화불 1구가 있으며 앙련(仰蓮)의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얼굴은 팽창된 뺨의 둥근 방형이며‚ 이목구비는 큼직한 편이다. 이마에는 백호가 있고‚ 어깨는 방형으로 각 지게 표현되어‚ 경직되어 보인다. 오른손은 손가락을 펴서 복부에 대었고‚ 왼손은 가슴 쪽으로 들어 하품상생인(下品上生印)을 결하고 있다. 평면적이며 도식적인 면이 있으나 조선조 최말기에 제작된 마애불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