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일본 야주로 할머니

추천0 조회수 29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일본 야주로 할머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가면을 일반적으로 ‘탈’이라고 부른다. 탈이란 말은 두 가지의 뜻을 갖고 있다. 첫째‚ 탈은 ‘탈나다’라는 말처럼 재앙이나 병을 뜻한다. 음식을 잘못 먹어 배가 아플 때 ‘배탈’이 났다고 하고‚ 다친 곳이 덧나도 ‘탈나다’고 하며‚ 무슨 일이 잘못되어도 ‘탈났다’라는 말을 사용한다. 둘째‚ 탈은 고대 몽골어로 얼굴이라는 뜻이다. 얼굴을 가리거나‚ 초자연적인 존재를 표현하기 위하여 나무. 흙.종이 따위로 사람. 동물들의 얼굴 모양을 본떠 만든 조형물‚ 머리 전체를 감싸거나 온몸을 가리는 것도 있다. 가면의 한자표기로는 면(面)·면구(面具).가수(假首).가면(假面)·대면(?面·代面).가두(假頭)가 있고‚ 순한글로는 탈. 탈박. 탈바가지. 초란이. 광대라고 불려왔으나‚ 일반적으로 <탈>이라 통칭되고 있다. mask(영)‚ masque(프)‚ maske(독) 따위로 불리우고 있는 가면은 라틴어 masca 또는 mascara에서 온 말이며‚ 그 어원은 아리비아어의 maskhara이다. 가면이 가지는 가장 오랜 기능 중의 하나는 주술(呪術)이며‚ 기본적으로 은폐와 신비화의 기능을 갖는다. 가면의 기원은 동서 어느 나라이건 원시 민족 사회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가면의 발생 동기는 신앙과 종교적 의식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고‚ 형태면에서 볼 때 신앙가면에서 연희가면으로 변천한 것 같다. 가면은 헝겊조각으로 소박하게 만든 단순한 가면에서 복잡하고 정교한 것까지 다종다양하다. 이것을 만드는 재료는 나무. 금속. 돌. 종이. 진흙‚ 동물의 가족. 뼈. 모피. 섬유로 짠 것. 식물의 잎. 줄기. 조류의 털. 조개. 상아. 산호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된다. <개설> 일본 야마가타현 무형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경사로세 경사로세 새봄에...’로 시작되는 이 모내기 춤은 풍년을 기원하며 농민을 위안하기 위하여 에도시대 중기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 후 두 번 정도 전승이 중단되었다가 1942년부터 히와다 야주로 꽃모자모내기춤 보존회의 노력으로 다시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공연자는 야주로 2명(노인과 노파)‚ 모내기 처녀 8명‚ 피리 3명‚ 북 명‚ 노래 3명‚ 맞춤소리꾼 2명으로 구성된다. 놀이의 내용은 논갈이에서 모심기까지의 농사일을 춤으로 표현하며 농사 신의 가호를 빌어 가을의 풍작을 기원한다. 특히 야주로(노인과 노파)는 큰 가면을 쓰고 부채를 멋있게 돌리며 해학적인 몸짓으로 춤을 춘다. 야주로는 농사신의 소작인이면서 모심기를 보호하고 무사히 모내기를 끝내도록 도움을 주는 신의 대리 역할을 한다. 흙내음을 풍기는 기이한 율동이 이 춤의 흥을 돋운다. 또 모내기춤은 야주로 노부부의 모습과 모내기 처녀들의 농작업 과정을 표현하고 있다. 놀이의 구성은 극화된 회화형식을 띄고 있어 논농사의 과정을 절도 있게 보여주며‚ 농사를 근본으로 살아가는 농민들의 진솔한 마음을 잘 표현하고 있다. <참고문헌> 하회동 탈 박물관‚ [풍자와 해학‚ 그 풍부한 표정들]‚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