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남사당 덧뵈기 먹세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남사당 덧뵈기 먹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남사당 덧뵈기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패는 원래 남자들로 구성된 유랑예인집단(流?藝人集團)이었다. 남사당패는 ‘꼭두쇠’(우두머리‚ 모갑이)를 정점으로 풍물(농악)·버나(대접 돌리기)·살판(땅재주)·어름(줄타기)·덧뵈기(탈놀이)·덜미(꼭두각시놀음) 등 여섯 가지 놀이를 가지고‚ 마을의 큰 마당이나 장터에서 밤새워 놀이판을 벌였다. 덧보기는 ‘덧(곱)본다’는 뜻으로 탈을 나타낸다. 덧뵈기는 지역 전승의 탈놀이에 비하여 의식성이나 행사성에 관계없이 그때그때 지역민의 취향과 흥취에 영합하였다. 춤보다는 재담과 연기가 더 우세한 풍자극인데‚ 제1과장 마당씻이‚ 제2과장 옴탈잡이‚ 제3과장 샌님잡이‚ 제4과장 먹중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덧뵈기에 사용되는 탈은 꺽쇠·장쇠·피조리(2)·옴중·먹중·노친네·샌님·말뚝이·멍쇠·잡탈·취발이 등이다. 1900년 무렵까지만 해도 나무 탈을 썼다고 하나‚ 현재는 바가지 위에 종이 찐 것을 붙여 요철을 나타내고 눈과 입을 뚫어낸 후‚ 아교·백분·광물성 분말염료를 적당히 배합하여 칠함으로써 각 탈의 특징을 표현하고 있다. 탈놀이의 내용 첫째 마당 마당씻이 : 잡탈과 풍물잽이가 텃고사를 지낸다. 둘째 마당 옴탈잡이 : 파계승을 풍자하는 마당이다. 셋째 마당 샌님잡이 : 양반인 샌님 내외가 팔도강산을 유람한다. 하인 말뚝이가 샌님 내외를 희롱한다. 넷째 마당 먹중잡이 : 파계승이 피조리를 유혹해서 살고 있는데‚ 취발이가 나타나서 빼앗는다. 춤사위는 나비춤과 피조리춤 등이다. <참고문헌> 하회동 탈 물관‚ [풍자와 해학‚ 그 풍부한 표정들]‚ 2004 민족문화사‚ [한국 민속 대사전]‚ 1993 문화체육부‚ [한국의 탈]‚ 태학사‚ 1996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