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옛산대놀이탈 (왜장녀)

추천0 조회수 27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옛산대놀이탈 (왜장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탈은 한자로 면(面)‚ 면구(面具)‚ 가수(假首)‚ 대면(?面‚ 代面)‚ 등으로 표기한다. 우리말로는 탈‚ 탈박‚ 탈바가지‚ 광대‚ 토라니라 불러 왔으나 현재는 일반적으로 `탈`이라 통칭되고 있으며‚ 얼굴 전체를 가리는 면구(面具)가면과 머리 전체를 가리는 가두(假頭)‚ 투두(?頭)‚ 가수(假首)로 구별하기도 한다. <역사> 산대놀이계열의 탈놀이는 서울 중심의 경기지방에서 연희되어 왔으며 녹번‚ 애오개‚ 노량진‚ 구파발‚ 송파‚ 퇴계원‚ 양주‚ 사직골 등에 분포되어 있었다. 산대놀이계열의 특징은 다양한 대사의 구사와 부드럽고‚ 다양한 춤사위를 들 수 있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산대놀이 탈은 원래 나무탈이었는데‚ 현재는 박바가지탈로 바뀐 것으로 나타난다. 현재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산대놀이의 나무가면에는 "양주군 퇴계원리 산대도감 사용 경복궁 조영당시"라고 씌어 있다. 경복궁을 중건하기 위한 영건도감을 설치된 1865년에는 나무탈을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유물은 산대탈의 전형적인 모습을 띄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제작기법에 있어서 나무를 얇게 조각한 뛰어난 예술성도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산대놀이에 등장하는 포두부장이나‚ 옴중‚ 상좌 등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양주별산대의 왜장녀는 술집 주인이고 애사당은 기생 또는 몸을 파는 그녀의 딸로 등장한다. 원래 왜장녀라는 말은 몸집이 크고 염치없는 짓을 서슴없이 잘하는 여자를 가리킨다. 왜장녀는 애사당을 목중에게 돈을 받고 팔아넘긴다. 목중의 파계하는 장면에 등장하여 골계적인 역할을 한다. 송파산대놀이에서는 왜장녀는 술집주인이고 애사당은 기생 또는 몸을 파는 우녀의 신분이다. 따라서 먹중에게 술상을 대접하고 돈으로 유혹하는 인물이다. 곧 먹중 갑.을의 북치기 놀이 중에 왜장녀가 돈을 받고 애사당을 먹중에게 넘겨준다. 애사당이 북채로 법고 칠 때 먹중은 `법고치기`를 `벗꼬치기`로 인식하며‚ 언어적 골계로 수작한다. (정형호 : 양주별산대놀이) <참고문헌>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퇴계원산대놀이]‚ 월인‚ 1999 민족문화사‚ [한국 민속 대사전]‚ 1993 문화체육부‚ [한국의 탈]‚ 태학사‚ 1996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