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분꼴그릇

추천0 조회수 1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분꼴그릇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화분과 비슷한 모양의 질그릇 종류 <발달과정/역사> 화분꼴그릇의 기형은 청동기시대 겹아가리의 팽이형그릇에서 유래된 것으로‚ 철기시대에 주로 나타나는 그릇이다. 이전 시기 민무늬그릇의 성격을 많이 가지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질그릇은 보통 500-1000 이하에서 구워지지만 그 이상에서 구워진 것은 도기(陶器)라 부르고‚ 유약을 바른 것을 자기(磁器)라 부르는데‚ 한국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후에 나오는 유약을 바른 자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질그릇(土器)이라 부른다. 질그릇은 점토의 가소성(可塑?)을 이용하여 형태를 빚고‚ 그것을 높은 온도에서 소성시켜 만든 용기로서‚ 대체로 완성된 질그릇이 나오기까지는 4-5단계의 공정을 거친다. 그 첫 단계가 원료점토의 채취와 태토의 준비이고‚ 그 두 번째 단계가 그릇의 형태를 만드는 성형‚ 면을 다듬는 정면 및 장식의 단계이며‚ 세 번째 단계인 건조과정을 거쳐 마지막으로 네 번째 단계인 소성을 거치면 완성된다. 화분꼴그릇은 철기시대에 이용하던 화분모양의 그릇으로‚ 그 색상은 회색 계통과 갈색 계통이 있고‚ 일부 검은색도 있다. 질그릇의 태토는 운모‚ 할석‚ 모래 등을 섞어서 사용하였다. 이는 깊은바리꼴그릇과 비슷하다. 소개한 유물은 색깔‚ 바탕흙‚ 성형 방법 등은 1267번의 유물과 같다. 전은 79도로 바라졌다. 바닥이 떨어져 나가 벽과 붙였던 이음 자국이 잘 보인다. 벽의 안쪽면에는 약 16mm 폭으로 위‚ 아래로 다듬은 자국이 뚜렷하다. 벽의 바깥면 양쪽에는 검은 그을음이 배어있다. 그릇 높이 175mm‚ 입지름 180mm‚ 바닥지름 91mm‚ 벽두께 5-7mm‚ 전두께 3mm이고‚ 무게는 658g이며‚ 부피는 2.2l이다. <참고문헌>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200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