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질그릇(대야바닥)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질그릇(대야바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점토를 물에 개어 빚은 후 불에 구워 만든 각종 그릇들 중에서 바닥이 네모난 형태에 각을 없앤 모양으로‚ 바닥이 넓고 납작하여 비슷한 크기의 그릇보다 많은 부피의 양을 담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발달과정/역사> 신석기시대 이래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과거의 수렵?채집 생활에서 농경을 바탕으로 하는 정착생활로 전환하면서 식량을 저장하고‚ 식수를 담아두는 용기가 필요하게 되면서 출현하였다. 처음에는 자연적인 구덩이나 풀로 만든 바구니‚ 목기 등을 질그릇 대신에 사용하였으나 점차 흙을 반죽하여 일정한 형태를 만들어 말려서 쓰게 되는데‚ 우연한 기회에 불에 타서 단단해진 것을 기회를 굽게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질그릇은 보통 500-1000℃ 이하에서 구워지지만 그 이상에서 구워진 것은 도기(陶器)라 부르고‚ 유약을 바른 것을 자기(磁器)라 부르는데‚ 한국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후에 나오는 유약을 바른 자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질그릇(土器)이라 부른다. 질그릇은 점토의 가소성(可塑?)을 이용하여 형태를 빚고‚ 그것을 높은 온도에서 소성시켜 만든 용기로서‚ 대체로 완성된 질그릇이 나오기까지는 4-5단계의 공정을 거친다. 그 첫 단계가 원료점토의 채취와 태토의 준비이고‚ 그 두 번째 단계가 그릇의 형태를 만드는 성형‚ 면을 다듬는 정면 및 장식의 단계이며‚ 세 번째 단계인 건조과정을 거쳐 마지막으로 네 번째 단계인 소성을 거치면 완성된다. 각 시대별 특징이 뚜렷한 토기는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그릇(櫛文土器)‚ 청동기시대의 민무늬그릇(無文土器)‚ 철기시대의 타날문그릇(打捺文土器) 등이며‚ 이어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각종 그릇으로 발전하게 된다. 소개한 대야바닥의 안쪽은 겉면이 원래 상태이며 밝은 회색이고‚ 바깥면은 대부분 껍질이 얇게 떨어진 상태이나 원래는 검은 회색을 띤다. 바탕흙에서 비짐 알갱이를 거의 볼 수 없어 정선된 흙임을 알 수 있다. 바닥에서 벽으로 이어지는 부위가 둥글어 대야바닥을 닮았다. 그릇꼴은 대접(발)으로 추정된다. 남은 그릇의 높이는 49mm‚ 바닥 및 벽두께 5mm‚ 바닥에서 벽으로 꺾이는 부분의 두께 6-7mm이다. <참고문헌>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200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