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쇠도끼

추천0 조회수 8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쇠도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철기시대 이후에 사용되었던 철제 연모의 하나이며‚ 무기로 사용되기도 함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쇠도끼(鐵부)는 중국의 전국시대와 관련된 주조품(鑄造品)의 도끼쇠로 만든 도끼였으며‚ 이러한 중국제 도끼는 청동기시대 후기 유적에서 청동유물과 함께 출토되고 있다. 도끼는 오늘날에 있어 공구로서의 의미가 크지만 고대에 있어서는 무기로서의 성능도 발휘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도끼는 크게 주조쇠도끼(鑄造鐵斧)와 단조쇠도끼(鍛造鐵斧)로 구분된다. 주조쇠도끼는 주형(鑄型-쇠를 부어 만드는 거푸집)을 이용해 제작되는 것으로 청동기유물과 함께 발견되는 예도 있다. 이 주조쇠도끼는 길이와 날 너비의 비율이 2:1 이하가 많고‚ 옆모습은 이등변삼각형이다. 이 형태로 보아 긴 방향 혹은 넓은 방향의 기능이 가능하며‚ 공구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단조쇠도끼는 거푸집을 이용하지 않고 임의로 쇠를 두드려서 제작한 것으로‚ 철기시대부터 제작되었으며‚ 주로 삼국시대 무덤에서 많이 출토된다. 단조쇠도끼는 주조쇠도끼보다 발달된 기술로 제작되었으며‚ 훨씬 강하여 도끼로서의 기능이 강화된 것이다. 한편 삼국시대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쇠도끼는 주조해 제작한 뒤 날 부분만을 다시 단조로 처리한 것들도 보이는데‚ 이것은 주조의 편리성과 단조의 유연성을 잘 이용한 것이다. 또 도끼 자루를 끼우는 부분의 형태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한쪽에 꽁무니(尻部)를 가진 주머니도끼‚ 머리 쪽에 구멍이 나있는 구멍도끼‚ 철판을 양쪽에서 구부려 만든 주머니도끼 등이 있다. 소개한 유물은 단조한 나비 모양 철판의 양 변 아래 부분을 안쪽으로 오므려 자루구멍을 만든 작은 도끼이다. 자루구멍에서 날 쪽으로 갈수록 부채꼴로 벌어지다 꺾어지듯 오므라졌다. 날은 곧으며‚ 그 단면은 쐐기형이다. 위에서 본 자루구멍의 모습은 `C`자형이다. 도끼의 길이는 65mm‚ 너비 61mm‚ 최대 두께 9mm이고‚ 날 길이는 52mm 이며‚ 자루구멍의 바깥 둘레 긴 지름 34mm‚ 짧은 지름 22mm 이다. 무게는 110g이다. 자루구멍의 안쪽 면에 나무 조직이 일부 남아있어 자루가 끼인 채 껴묻어졌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3 조선대학교 박물관‚ "순천 죽내리유적"‚ 200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