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몸돌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몸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구석기시대의 석기를 만들기 위한 기초 재료가 되는 큰 돌덩이로서‚ 망치돌과 부딪쳤을 때 격지(剝片‚ Flake:돌조각)가 떨어져 나가고 남아 있는 덩이돌 <발달과정/역사> 몸돌은 인류의 시작과 함께 도구를 만들기 위한 기초 재료가 되었다. 이 몸돌에서 격지를 떼어낸 후 잔손질을 하여 다양한 날을 갖춘 격지석기로 이용하였다. 그리고 격지를 모두 떼어낸 몸돌은 점점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더 이상 격지를 떼어낼 수 없을 정도가 되면 결국 버려지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격지를 떼어내고 남은 몸돌 자체에 잔손질을 하여 여러면석기나 망치돌 등의 석기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몸돌의 종류로는 중기구석기시대의 르발루아몸돌‚ 후기구석기시대의 돌날몸돌과 좀돌날몸돌 등이 대표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몸돌은 격지나 조각돌을 떼어내고 남은 돌덩이이다. 따라서 몸돌에는 망치돌과 부딪쳤을 때의 힘에 의해 으스러진 자국이 남아 있으며‚ 여기에서 떨어져 나간 격지와 조각돌의 자국이 뚜렷이 남아 있게 마련이다. 구석기시대에는 정교한 날을 갖춘 석기를 만들기 위해 의도된 격지를 떼어내야 한다. 따라서 석기를 만들기에 앞서 몸돌로 사용할 암석의 종류 및 돌의 성질을 미리 파악하여‚ 격지를 떼기 좋은 조건으로 다듬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 의도 아래 몸돌에는 망치돌로 내려치기에 좋도록 판판한 때릴면을 만들어 놓고‚ 이 때릴면과 직각의 각도로 격지를 떼어내게 된다. 따라서 몸돌에는 하나의 판판한 때릴면이 있고‚ 그 때릴면과 수직 방향으로 여러 개의 격지를 떼어낸 자국이 남아있다. 몸돌은 격지를 어느 정도 떼어내고 남은 그 몸체에 손질을 하여 몸돌석기로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 유물은 몸돌로써의 기능만 엿볼 수 있을 뿐‚ 다른 석기로의 이용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돌감은 고운 입자의 우유빛 석영맥암이다. 전체 둘레를 돌아가며 중심점을 향해 안팎으로 격지를 떼어냈다. 둘레의 한쪽 면은 13차례 이상‚ 그리고 다른 면은 9차례 이상 격지를 떼어낸 흔적이 남아있다. 두 면이 이루는 각도는 110도 내외이다. 이 원반 형태의 둥근몸돌(Discoid)은 갈짓자의 날을 가졌다. 날 길이는 약 264mm 이다. <참고문헌> 조선대학교 박물관‚ "순천 죽내리유적"‚ 2000 조선대학교 박물관‚ "순천 월평유적"‚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