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국화문팔각접시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국화문팔각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청자는 철분이 조금 섞인 백토(白土)로 만든 모양 위에 철분이 1∼3% 정도 들어 있는 장석질(長石質) 유약(釉藥)을 입혀 1‚250∼1‚300 정도에서 환원염(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빨간 불꽃과 검은 연기가 나는 것으로 온도는 낮지만 열복사가 강함)으로 구워낸 자기이다. <개설> 유약의 색은 초록이 섞인 푸른색으로 비취색(翡翠色)을 띠고 투명에 가까우며 태토(胎土)의 색은 흐린 회색이기 때문에 청자의 색은 회색이 바탕이 된 녹청색이 되는데 고려 사람들은 이를 비색(翡色)이라 하였다. 청자의 태토와 유약은 청자를 만든 나라와 지방‚ 그것을 만든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고 굽는 방법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여기에 따라 태토와 유약의 색이 조금씩 다르다. <역사> 청자는 통일신라 말기인 9∼10세기경부터의 회유토기(灰釉土器)로부터 발전하여 원시적인 청자가 생산되기 시작하여 고려시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11세기에서 12세기 초반까지는 중국 청자와의 교류 속에서 청자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형태·문양·번조수법 등이 고려적으로 세련되어 갔다. 12세기 중엽부터 몽고가 침입하는 13세기 전반까지는 고려 청자의 절정기에 해당되는데‚ 이 때에는 뛰어난 비색과 상감기법이 어우러져 세계 최고의 청자를 생산하게 된다. 몽고침입 이후부터 고려청자는 퇴보하지만 귀족들을 위한 소수의 뛰어난 도자기가 생산되기도 하였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청자는 처음 소문(素文)청자에서 문양을 장식하는 음·양각 청자로 발전하는 순청자시대를 지나 상감 기법이 성행하는 소위 상감 청자시대를 맞는다. 청자 발생기의 순청자는 문양 장식이 없는 소문 청자와 문양을 넣는다 하더라도 양각‚ 음각‚ 투각 등의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상형 등 안료를 사용하지 않은 청자를 말한다. 청자의 비색과 조형성이 발전하는 12세기 전반기 청자를 대표한다. 그 후 제작 기술이 세련되고 청자의 가치 기준이 높아지는 10세기 후기부터 음각‚ 양각으로 장식 문양이 새겨진다. 상감청자는 선이나 면으로 무늬를 파고 그 내부에 안료를 집어 넣은 후 유악을 입혀 구워낸 12세기를 대표하는 청자로 순청자가 아름다운 비색과 형태를 강조한다면 상감청자는 그것에 문양의 장식성을 더하고 있다. 상감된 문양을 강조하다보니 유악은 더욱 얇고 투명하여 밝은 분위기를 갖는다. 이 청자는 녹청색의 청자인각국화문팔각접시이다. 구연부는 직립하였으며 내측면은 팔각의 각면이며 아무런 문양은 없고 내저면는 편평하다. 외면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1줄의 음각선이 백상감되어 있다. 그 사이로 팔각의 각면에 방형으한국의 미 4)‚ 1991‚ 중앙일보사로 윤각선을 두르고 국화문을 시문하였다. 유는 투명하며 전면에 빙렬이 있다. 굽안바닥까지 전면 시유하였다. 굽은 다리굽으로 죽절굽의 형태이며 굽접지면에는 2곳의 모래받침눈을 받쳐 번조하였다. <사회적 의의> 고려의 청자는 세계 도자사에 몇 가지 특별한 성과를 이룩하였는데‚ 첫째‚ 비색청자의 완성 둘째‚ 독창적 장식 기법인 상감 기법 셋째‚ 전통적 환원염 기술의 결과인 산화동 안료의 붉은 진사 발색법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고려청자는 `인간의 마음을 정서적으로 순화시키는` 예술 본래의 기능에 한층 다가섰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대백과사전‚ 199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KOREAN ART BOOK‚ 2000‚ 예경 청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