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문자도

추천0 조회수 6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문자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민화는 한 민족이나 개인이 전통적으로 이어온 생활 습속에 따라 제작한 대중적인 실용화를 말한다. <개설> 일반적으로 민속에 얽힌 관습적인 그림이나 오랜 역사를 통하여 사회의 요구에 따라 같은 주제를 되풀이하여 그린 생활화이다. 비전문적인 화가나 일반 대중들의 치졸한 작품 등을 일컫는 말로 쓰이기도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직업 화가인 도화서(圖怜署)의 화원(怜員)이나 화가로서의 재질과 소양을 갖춘 화공(怜工)이 그린 그림도 포함시켜 말하고 있다. 나쁜 귀신을 쫓고 경사스러운 일을 맞기를 바라는 대중의 의식과 습속에 얽힌 그림‚ 집 안팎을 단장하기 위한 그림‚ 병풍·족자·벽화 같은 일상생활과 직결된 그림이 민화의 주류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역사> 민화의 시초는 고구려 벽화부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뒤 고려시대에도 당시 나름대로의 민화적 표현이 있었겠으나 오늘날 전혀 남아 있는 것이 없고 본격적으로 민화의 성격이 드러나며 그려지기 시작한 것은 조선시대부터이다. 지금 남아 있는 민화도 대부분 조선시대‚ 특히 조선시대 후기 이후의 것이 대부분이다. <일반적 형태‚ 특징> 글자가 만들어진 이후 이를 조형적 예술로 승화시킨 서예는 동양미술사에서 중요하고 오래된 전통을 차지한다. 특히 도안화된 글자예술인 문자도는 상형문자로서 함축적인 뜻을 내포하는 한자의 특성에 바탕하여 글자의 시각적 형상과 언어적 내용을 결합시킨 것이다. 즉‚ 글자의 자획 속을 글자의 뜻과 부합되는 그림으로 채워 넣거나 필획 자체를 그림으로 대체한 것이다. 자주 문자도로 그려지는 글자로는 용(龍)‚ 호랑이(虎)‚ 거북(龜) 등의 수호적 상징문자‚ 수복강녕(壽福康寧)‚ 다남(太男)‚ 등과 같이 부귀와 길상을 뜻하는 문자‚ 효제충신(孝?忠信)같은 윤리적 문자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질량면에서 문자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효제문자도는 한국사회를 지켜온 사회윤리의 기본강령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학윤리관의 압축이기도 하다. (감정평)1920년대 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효제도팔폭병풍이다. 그 구성이 미려하여 문화재적 가치가 충분함을 볼 수 있다. 병풍상태가 아닌 그림만 전해져 오며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대백과사전‚ 199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문자도(빛깔있는 책들)‚ 1993‚ 대원사 꿈과 사랑(매혹의 우리민화)‚ 1998‚ 호암미술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