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어피안경집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어피안경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안경을 넣는 갑. 안경집은 안경을 보호하고 휴대하기 위한 도구로 예부터 그 기능이 중요시되었다. 옛사람들은 안경 착용을 부끄럽게 여겨 허리춤에 매달기보다 도포 자락에 넣어 다녔다. 그래서 초창기 안경집에는 매다는 끈이 없었다. 그러나 점차 안경의 착용이 오히려 자랑스럽게 여겨지게 되자 허리춤에 매다는 것이 유행하였다. 이때부터 밋밋하던 안경집이 화려해졌다. 그 재질이나 문양도 다양해져 어떤 안경집은 안경보다 더 비싼 것도 있었다. 유물로 전해 오는 안경집을 살펴보면 그 재질이 다양하다. 처음에는 주로 기능에만 충실했기 때문에 견고한 나무가 많이 쓰였다. 피나무‚ 은행나무‚ 오동나무 등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속을 파낸 다음 다듬어서 옻칠이나 기름칠한 것이 대부분이다. 여기서 발전한 것이 대추나무로 만들어진 안경집이다. 이 안경집에는 사군자‚ 십장생‚ 만(卍)자문‚ 연속 꽃무늬‚ 신선도‚ 화조‚ 포도등 온갖 문양이 새겨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안경집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 공예품처럼 여겨지게 되었다. 또 통나무는 파기 힘들어 대나무를 반으로 쪼개 부레풀로 붙여 만들기도 했으며 대나무 껍질을 얇게 벗겨 엮어서 문양을 낸 채상(彩箱) 안경집도 있었다. 대나무 안경집은 대나무가 흔한 고장에서 주로 만들었다. 호사가들은 나전칠기로 만들기도 했으며 십장생‚ 화조‚ 수복자(壽福字)등을 화려하게 수놓기도 했다. 조선 말기에 궁에서는 수놓는 상궁을 두어 안경집을 만들게 했다. 이 때 산호 구슬이나 유리 구슬을 실에 꿰어 수놓기도 했다. 현재 남아 전하는 안경집 가운데에는 순종 때 상궁이었던 윤백영(尹白英)이 직접 수놓은 미완성 안경집이 있다. 구름과 칠보 문양이 있는 연두색 비단 체두리는 청‚ 황‚ 분홍‚ 밤색의 오색길로 완자 문양을 수놓았다. 안경집 뚜껑 부분과 몸체 부분인 쌍회(囍)자 아래에는 분홍색으로 모란을 수놓아 화려함을 더했다. 특히 오색실로 갖가지 문양을 누벼서 만든 안경집은 미적 감각이 뛰어난 공예품이었다. 안경집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어피(魚皮) 안경집이다. 중국에서도 이 어피 안경집이 가장 유행하였는데‚ 어피란 글자대로 풀이하면 물고기 껍질이지만 정확히 말하면 상어 껍질이다. 이 어피는 비늘 때문에 매우 거칠지만 숫돌에 갈아 내면 매끈해진다. 여기에 나타나는 작은 물방울 무늬는 가히 환상적이다. 매끈하게 갈아 내면 투명해지는데 여기에다 붉은 색을 칠하면 붉은 어피‚ 흰색을 칠하면 흰색 어피‚ 청색을 칠하면 청색 어피가 된다. 중국에는 청색 어피가 많고 우리나라에는 흰색 어피가 많으며 붉은 색은 극히 드물다. 중국 안경집 속은 나무로 제작되어 모양이 납작한데 우리것은 속면 무거워서 매우 귀한 편이다. 그러나 은‚ 백동‚ 황동(신주)‚ 적동(구리)‚ 주석 등으로 만든 안경집은 드물게 나타나고 무쇠에 은입사한 것은 매우 귀하게 여겨기지도 했다.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동양과 서양의 안경집은 확실히 서로 다르다. 서양의 안경집은 끈 없이 만들어졌으나 동양의 안경집에는 대부분 끈이 있다. 이같은 차이는 복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서양의 복식은 주머니가 많아 안경집에 끈을 달 필요가 없었으나 중국이나 우리의 전통 옷차림에는 안경을 휴대할 수 있는 주머니가 없었기 때문에 허리춤에 매달아야 했다. 한 때는 안경집 밑에 매듭을 다는 것이 유행했는데 이런 풍습은 중국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등에서도 의복이 점차 서구화되자 안경뿐만 아니라 안경집에서도 끈이 사라졌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검색(www.naver.com) 을 종이로 제작하고 통통한 것이 특징이다. 이 어피에 호가가들은 은이나 백동‚ 황동‚ 적동‚ 주석 등으로 띠를 둘러 장식을 하기도 했다. 이것은 멋을 낼 뿐만 아니라 튼튼하게 해주므로 멋과 실용성을 겸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가죽보다 종이로 된 안경집이 많다. 우리의 닥나무 한지는 질겨서 수명이 길기 때문이다. 종이를 여러 겹 겹쳐 바른 뒤 옻칠을 하거나 종이를 가늘게 잘라 꼬아 엮은 것이 있다. 이것은 질겨서 오래 쓸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했다. 속 뼈대는 종이로 만들며 겉은 명주‚ 모시‚ 삼베 등으로 감싸서 옻칠을 한 것도 있고 감물이나 쪽물을 들인 것도 있다. 금속으로 된 안경집은 튼튼한 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