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보라색 무명바지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보라색 무명바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양쪽으로 다리가 들어갈 수 있도록 가랑이가 나누어져 있는 형태의 하의(下衣). 무명은 수직기(手織機)인 재래식 베틀로 제직된 면평 직물이다. 면직물은 조선시대의 각종 문헌에 면포(綿布)·목(木)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색·품질·용도에 따라서 백면포·구승백면포·목홍면포·오색목·백목·극세목·백세목·관목·생상목·홍세목·황세목·초록목·남목·자목·홍목·흑목·아청목 등 각양각색으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근년에 이르러서는 재래식 베틀로 제직된 면평 직물이 무명으로 명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무명은 광목(廣木)·옥양목(??木)·서양목과 같은 면직물과 구별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의 토속 직물로서‚ 실용적인 춘하추동의 의복 재료 및 침구‚ 기타 생활용품 자료로 가장 많이 이용된 직물이다. 바지·고이 두 계통의 어휘가 있고‚ 한자어로는 고의(袴衣)·경의(脛衣)·각의(脚衣)로 표기된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가 심한 우리 나라는 어한과 내열에 알맞은 바지와 저고리를 기본으로 하는 북방계 복식으로‚ 바지 착용의 역사는 매우 오래이다. ≪삼국유사≫나 ≪삼국사기≫에도 삼국시대의 바지에 대한 기록이 있어 능고(綾袴)·청금고·적고 등이 보인다. 또 ≪삼국사기≫ 색복조(色服條) 부인복 중에 고(袴)가 기록되어 있어‚ 삼국의 남녀 모두가 바지를 입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바지의 명칭은 그 모양이나 사용된 옷감‚ 색에 의하여 붙여진 것이다. 가랑이가 넓은 것은 대구고·고대구·태구고‚ 길이가 긴 것은 장고‚ 옷감의 종류와 색에 따라 갈고·적황고·청금고·능고 등으로 된 것이다. 벽화에 나타난 바지의 모양은 크게 바지가랑이가 넓은 관고(寬袴)와 관고보다 가랑이가 좁은 세고(細袴)‚ 그리고 가랑이가 짧은 곤이 있다. 바지의 폭은 계급의 상하에 따라 달라‚ 귀인은 관고를 입고 있으며 시중드는 사람은 세고를 입고 있다. 대체로 관고는 모두 바지부리를 묶었는데 세고는 묶지 않은 채 부리 끝에 별색(別色)의 선(虜)을 대었다. 곤은 장수나 수문장·역사‚ 씨름하는 사람들이 입고 있는데 이는 현재의 여름용 잠방이와 같은 것이다. 통일신라시대 흥덕왕 복식금제(服飾禁制‚ 834)에 남녀 바지의 옷감에 대한 제한이 있어‚ 그 사용된 옷감을 보면 이때도 남녀 모두 바지를 겉옷으로 입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는 바지에 대한 기록이나 자료를 거의 볼 수 없다. ≪고려도경≫ 장위조(仗衛條)에 궁고·백저궁고(白紵窮袴)가 보이고 이규보(李?報)의 시에 쇠코잠방이〔犢鼻絹〕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는 ≪탁지정례≫·≪국혼정례≫·≪상방정례≫·≪가례도감의궤≫·≪궁중의대발기 宮中衣闕撥記≫에 바지와 이의(裏衣)·말군(襪裙)두어 만들었고‚ 봄·가을은 숙고사·진주사 등으로 겹바지를 만들었다. 우리 나라의 바지는 고대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옷의 기본 복식으로 형태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남자 바지는 조선시대 사폭이 조금 넓어졌다 좁아졌다 하는 정도이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봉디·너른바지·누비바지 등 다양한 기록이 보인다 남자의 바지는 고대에서부터 그 기본형은 변함없이 명칭만 변화되면서‚ 바지·고의·잠방이라고 하여 겉옷과 속옷으로 입었다. 여자의 바지는 속옷화하여 치마 속에 입게 되었다. 여자 바지는 치마나 단속곳 속에 입는 속바지로 되어 모양이 남자 바지와 다르다. 조선 후기는 관고의 밑을 따로 떨어지게 만들어 여러 계층에서 모두 입었다. 밑이 따로 떨어진 두 가랑이를 서로 겹치게 하고 끈이 달린 띠허리를 달았으며‚ 바지부리는 좁고 배래는 곡선을 이루었다. 여자의 속바지로는 바지·너른바지·고쟁이·단속곳 등이 있었다. 겨울은 명주·삼팔·자미사·호박단 등으로 솜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