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노랑 명주저고리

추천0 조회수 2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노랑 명주저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양팔과 몸통을 감싸며 앞을 여며 입는 형태로 명주로된 한복 윗옷. 가장 기본적인 복식이다. 명주는 너비가 좁은 평직의 견직물이다. 보통 명주는 연견직물을 말하는데 생견직물인 생명주도 있다. 명주실은 누에고치를 끓는 물에 넣어 실 끝을 풀어서 자새·왕챙이 등의 기구로 실켜기를 하여 제사(製絲)한 것이다. 저고리의 구성은 길·소매·깃·동정·고름이 기본형제(基本形制)이며‚ 여자저고리는 경우에 따라 끝동이 달리기도 한다. 저고리의 형태는 시대에 따라 변하여 왔다. 저고리는 감·재봉법·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홑〔單〕·겹·솜·누비저고리는 감·재봉법에 따른 명칭이고‚ 여자저고리 중 ‘당코저고리’는 깃의 모양에 따른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저고리와 단저고리의 두 가지가 보이는데‚ 그 중 한 가지 설은 저고리와 단저고리의 구별은 길이의 길고 짧음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옆이 터지거나 막힌 형제의 차이에 있는 것이다. 옆이 터지고 긴 저고리가 후대의 당의로 발전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길이가 짧아져 띠 대신 고름이 생김으로써 오늘날과 비슷한 저고리의 모양이 이루어졌다고 본다. 저고리의 길이는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점차 짧아졌는데 그 경향은 조선시대 중기·후기에 더욱 가속화되어 그 길이가 가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짧아지고‚ 직배래를 이룬 소매는 벗을 때 소매를 뜯어내야 할 정도까지 이르러 요사(?邪)하다는 지탄을 받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단소화의 경향은 말기에 약간의 반전기미를 보이다가 개화기에 들어 1920년대까지 지속된다. 그 뒤 1930·1940년대에는 저고리의 길이와 각 부가 커지는 장대화(長?化)의 경향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