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초록색 당의

추천0 조회수 9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초록색 당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조선시대에 여자들이 입었던 초록색 예복. 당의는 간이예복 또는 소례복(小禮服)으로 평복 위에 입었으며 궁중에서는 평상복으로 입었다. 조선 초기 명나라에서 전래된 단배자(短背子)가 배자저고리로 변하였다가 다시 숙종 이후 조선 말기의 당의와 같은 제도가 이루어진 것 같다. 당의에 영향을 준 반비(半臂)·배자 등은 당나라의 유속(遺俗)으로 명나라를 거쳐 전래되었으므로‚ 이 옷의 명칭에도 ‘당’자를 붙여 당의라 부르게 된 것이라 본다. 당의는 반비 또는 소매가 없는 단배자와 비슷하면서도 좁은 소매가 달려 있다. 길이는 무릎까지인데 옆이 트였고‚ 두 앞자락이 서로 겹쳐지는 교임(交父) 형태로 초록색 비단 거죽에 다홍색 안을 받치고‚ 자주색 겉고름과 안고름을 달았다. 소매 끝에는 창호지 속을 넣은 흰 천의 거들지를 달았고 어깨에서 소매 끝까지‚ 앞길과 뒷길‚ 겉고름과 안고름 등에는 화문(花文)과 박쥐 또는 壽(수)·福(복) 등의 글자를 금직(金織) 또는 금박(金箔)하였는데‚ 직금과 부금(付金)은 민간에는 허용되지 않았다. 이 당의는 조선시대에 있어 예(禮)를 갖추어야 할 때 입는 여자용 예복(禮服)이 되었다. ≪병와집 甁窩集≫에 보이듯이 초록당의(草綠唐衣)를 외명부(?命婦)·사녀(士?)의 진현시(進見時) 상복(上服)으로 삼게 되었다. 법도가 엄하였던 궁중에서는 평상복이 되어‚ 계절에 따라 옷감과 색상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입었다. ≪사절복색자장요람 四節服色自藏要覽≫에도 동지 전후에는 녹색 직금수복자당의(織金壽福字唐衣)‚ 정월 망일 전후에는 공단당의를 입었다. 삼월 망일에는 녹색 항라당의(亢羅唐衣)‚ 오월단오에는 초록 광사(光紗) 깨끼당의‚ 오월 십일에는 백광사당의(白光紗唐衣)를 입었다. 유월 순망간(旬望間)에 날이 몹시 더울 때는 저포당의(紵布唐衣)‚ 팔월 십일에는 초록 깨끼당의‚ 팔월 이후에는 초록 광사당의를 입었다. 구월 초하루부터는 항라당의‚ 구월 망일에는 공단당의‚ 시월 초하루에는 겹당의를 입는다고 하였다. 또한‚ 오월단오 전날 왕비가 흰 당적삼(홑당의)으로 갈아입으면‚ 단옷날부터 궁중에서는 모두 당적삼으로 갈아입었다. 또 추석 전날 왕비가 다시 당의로 갈아입으면‚ 추석날부터 궁중에서는 다시 당의로 갈아입었다. 겨울철에는 자색당의(紫色唐衣)를 입기도 하였다. 조선 말엽에 이르러 당의가 왕실 소례복이 되면서부터는 여기에 흉배(胸背)를 달기도 하였다. 왕비는 오조룡원보(五爪龍圓補)를 달고‚ 다른 이들은 봉황을 수놓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흉배를 달았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