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묵란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묵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사군자(四君子)란 매화(梅花)·난초(蘭草)·국화(菊花)·대나무(竹) 등 네 가지 식물을 일컫는 말이다. 매‚ 난‚ 국‚ 죽으로 순서를 지워 부르는 것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계절순서에 맞춘 것이다. 매화는 추위가 덜 가신 초봄에 꽃이 피므로 봄에‚ 난초는 여름에 잎새가 무성하고‚ 국화를 가을에 꽃을 피우며‚ 대나무는 네 계절 모두 푸르러 겨울까지 아우르므로 그렇게 정했던 것이다. 또 방위에 따라 남쪽에 난초를‚ 북쪽에 대나무를. 동쪽에 매화를‚ 서쪽에 국화를 배치하여 음양의 기운을 논하기도 한다. 이는 주역의 철학을 적용한 것으로‚ 이를테면 직선을 양(陽)으로 풀어 대나무를‚ 곡선을 음(陰)으로 풀어 난초를 자리매김하고‚ 반 곡선은 국화‚ 반직선을 매화로 풀어 직선과 곡선 사이에 두었다. 사군자는 군자를 희망하는 중세 사대부 지식인의 자화상이었다. 인자함을 상징하는 매화‚ 의로움을 상징하는 국화‚ 예를 상징하는 난초‚ 슬기로움을 상징하는 대나무는 사대부 지식인들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그만큼 사군자 그림에는 창작하는 이의 인품과 가슴속 사상이 아로새겨져 있다. 사군자 그림은 얼핏 비슷한 것처럼 보여도 그림 보기를 되풀이하다 보면 구도와 붓놀림 따위 형식이 조금씩 다른 대목을 발견할 수 있다. 석촌 윤용구(石村 尹用求‚ 1853-1939)는 문신‚ 서화가로 자는 주빈(周賓) 호는 석촌(石村)‚ 해관(涇觀)‚ 수간(睡幹)‚ 장위산인(?位山人)이다. 석촌은 글씨와 그림에 두루 능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난죽(蘭竹)과 구양순(歐陽詢) 풍의 해서‚ 수경(瘦勁:가늘면서 힘찬)한 행서‚ 그리고 금석문(金石文)을 즐겨 썼다. 금석문으로 과천의 〈문간공한장석신도비 文簡公韓章錫神道碑〉와 광주(廣州)의 〈선성군무생이공신도비 宣城君茂生李公神道碑〉가 있으며‚ 전라남도 선암사 입구의 강선루(降仙樓) 현판 등을 남겼다. 윤용구의 그림은 화면을 꽉 채우는 구도임에도 듬성듬성한 맛을 풍긴다. 또 작대기를 꺾듯 바위를 묘사하여 딱딱한 맛이 흘러나는데도 옅은 먹 맛으로 말미암아 은은하고 부드럽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최열‚ 사군자 감상법‚ 빛깔있는 책들‚ 2000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