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칠보삼작노리개(단작)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칠보삼작노리개(단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노리개는 여성의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허리 등에 다는 패물로 궁중에서는 물론 상류사회와 평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애용된 장식물이다. 칠보삼작노리개는 은‚ 금을 더욱 아름답고 화려하게 장식하기 위하여 칠보를 입힌 것이다. 띠돈이 결실된 소삼작노리개인데 두 개의 방아다리와 3개의 고추‚ 3개의 도끼로 꾸며졌으며 고추는 분홍색 쌍봉술인데 나머지는 옥색쌍봉술을 달았다. 방울노리개의 상징은 장수와 건강을 ‚ 고추는 가지와 더불어 열매가 잘 맺히고 쉬이 자란다하여 자식복(子?福)과 득남(得男)을 뜻하며 도끼는 벽사(碧邪)를 위한 것으로 젊은 부녀자가 애용하던 것이다. 노리개를 차는 위치는‚ 저고리의 곁고름과 안고름에 차거나 또는 의(衣) 고름에 찾고‚ 또는 붉은 비단띠를 만들어 저고리 밑 치마에 띠고 여기에다 여러개의 삼작 노리개를 차기도 했다. 곁고름에는 겉노리개라 하여 대삼작이나 중삼작을 찾고‚ 안고름에는 속노리개라고 하여 소삼작을 찼다. 한 편 칠보란 금속 등의 재료에 유리질을 녹여 붙이는 과정을 거쳐 아름답고 귀한 색상의 보배로운 물건을 만드는 공예기법으로 이 때 부식을 방지하고 강도를 더해주어 마치 일곱 가지 보물(金·銀·瑠璃·厓璃·簫腔·赤?·瑪瑙)과 같은 색상이 난다하여 ‘칠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파란`이라고도 하였다. 칠보의 소지로는 적동(赤銅)을 쓰는 것이 보통이나 금 ·은 ·톰백(tombac:구리와 아연의 합금) 등을 쓰기도 하며 도기나 유리를 사용한 것도 있다. 유럽의 에나멜이나 에마유(mail)는 칠보와 마찬가지의 기술이다. 각종의 소지에 유약을 발라 녹여 부착시킨다. 유약은 규토 ·장석(長石) ·소다 ·붕사 및 다른 재료를 녹여서 만든 물체이고‚ 그 색소는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나타내며 발색(發色)도 상당히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상을 얻을 수 있으나 유약을 혼합시켜서 다른 색을 낼 수는 없다. 유약은 완전한 무기물이기 때문에 금속과 함께 영원성을 지니게 된다. 유약은 그 과립(顆粒)의 크기에 따라 미세한 것과 거친 것으로 나뉘며‚ 투명도에 따라 불투명 ·반투명 ·투명으로 나뉜다. 또한 용해점에 따라서 분류하기도 하며 이는 가마솥 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용해점의 범위는 700∼820℃이다. 금속의 표면에 유약을 부착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기법에 따라 각기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한국의 전통매듭(http://www.crossncross.com)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