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칠보삼작노리개(단작)

추천0 조회수 6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칠보삼작노리개(단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노리개는 여성의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허리 등에 다는 패물로 궁중에서는 물론 상류사회와 평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애용된 장식물이다. 칠보삼작노리개는 은‚ 금을 더욱 아름답고 화려하게 장식하기 위하여 칠보를 입힌 것이다. 이 유물은 띠돈이 결실된 소삼작노리개인데 두 개의 방아다리와 3개의 고추‚ 3개의 도끼로 꾸며졌으며 고추는 분홍색 쌍봉술인데 나머지는 옥색쌍봉술을 달았다. 방울노리개의 상징은 장수와 건강을 ‚ 고추는 가지와 더불어 열매가 잘 맺히고 쉬이 자란다하여 자식복(子?福)과 득남(得男)을 뜻한다. 도끼는 벽사(碧邪)를 위한 것으로 젊은 부녀자가 애용하던 것이다. 노리개를 차는 위치는‚ 저고리의 곁고름과 안고름에 차거나 또는 의(衣) 고름에 찾고‚ 또는 붉은 비단띠를 만들어 저고리 밑 치마에 띠고 여기에다 여러개의 삼작 노리개를 차기도 했다. 곁고름에는 겉노리개라 하여 대삼작이나 중삼작을 찾고‚ 안고름에는 속노리개라고 하여 소삼작을 찼다. 한 편 칠보란 금속 등의 재료에 유리질을 녹여 붙이는 과정을 거쳐 아름답고 귀한 색상의 보배로운 물건을 만드는 공예기법으로 이 때 부식을 방지하고 강도를 더해주어 마치 일곱 가지 보물(金·銀·瑠璃·厓璃·簫腔·赤?·瑪瑙)과 같은 색상이 난다하여 ‘칠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파란`이라고도 하였다. 칠보의 소지로는 적동(赤銅)을 쓰는 것이 보통이나 금 ·은 ·톰백(tombac:구리와 아연의 합금) 등을 쓰기도 하며 도기나 유리를 사용한 것도 있다. 유럽의 에나멜이나 에마유(mail)는 칠보와 마찬가지의 기술이다. 각종의 소지에 유약을 발라 녹여 부착시킨다. 유약은 규토 ·장석(長石) ·소다 ·붕사 및 다른 재료를 녹여서 만든 물체이고‚ 그 색소는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나타내며 발색(發色)도 상당히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상을 얻을 수 있으나 유약을 혼합시켜서 다른 색을 낼 수는 없다. 유약은 완전한 무기물이기 때문에 금속과 함께 영원성을 지니게 된다. 유약은 그 과립(顆粒)의 크기에 따라 미세한 것과 거친 것으로 나뉘며‚ 투명도에 따라 불투명 ·반투명 ·투명으로 나뉜다. 또한 용해점에 따라서 분류하기도 하며 이는 가마솥 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용해점의 범위는 700∼820℃이다. 금속의 표면에 유약을 부착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기법에 따라 각기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