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홑겹 옥양목 적삼

추천0 조회수 1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홑겹 옥양목 적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홑으로 만든 윗옷. 한자로는 단삼(單衫)이라고 한다. 여름용 적삼과 저고리 밑에 입는 속적삼이 있으며‚ 형태는 저고리와 같으나 고름이 없고 단추로 여민다. 풀을 강하게 먹이고 손질을 잘하여 올이 반듯하게 되도록 다려 입어야 맵시가 난다. 적삼은 통째로 세탁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여름용 적삼은 저고리와 같은 형태이나 홑이며 바느질 방법을 박이(박음질)로 하는 것이 다를 뿐이었다. 이 적삼에는 간혹 홑으로 한 고름을 달기도 하였으나 대개 단추를 사용하였다. 상류계층에서는 패물 또는 칠보 등을 사용하기도 하고 보통은 은단추를 이용하였고 금으로 달기도 하였다. 여름용 적삼은 대개 더위를 피하기 위하여 만들었으므로 재료로는 베나 모시‚ 면 등을 사용하여 청량감을 가지고자 하였다. 베는 약간 거친 느낌이고 모시는 올이 고우면서 시원한 것이 특징이다. 속적삼은 저고리 안에 입은 속옷으로 형태와 치수도 저고리와 비슷하였다. 겨울에는 겨울감으로 여름에는 여름감으로 지어 입었는데‚ 혼인 때에는 아무리 엄동설한일지라도 모시 분홍 속적삼을 입었다고 한다. 시집살이의 앞길이 시원하라는 의미에서 그와 같이 입었다고 한다. 속적삼은 저고리 안에 입는 것이었으므로 그 치수를 저고리보다 약간씩 작게 하여 겉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였다. 고름이 없고 일반적으로 맺은 단추를 달아 입었다. 조선시대에 궁중이나 반가의 부녀자들은 아무리 무더운 여름철이라도 반드시 속적삼을 입었다. 여자의 저고리(赤古里)는 치마와 함께 일습(一襲)을 이루어 의례용 및 평상용으로 착용된다. 시류(時?)에 따르는 부분적인 변화를 제외하고는 상고시대 상의(上衣)와 하상(下裳)의 기본형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복식이다. 조선조의 여자저고리는 임진왜란을 계기로 큰 변화를 보이는데 전란 이전의 길이가 길고 품이 넓은 형태는 전란 이후 점차 길이가 짧아지고 품이 작아지는 단소화(短小化) 경향을 보인다. 그 후 영·정조시대 문예부흥기를 맞이하면서 곡선이 강조된 하후상박형(下厚上薄形)의 전통적인 복식미가 완성된다. 단소화 경향은 계속되어 국말에는 가슴이 드러나도록 짧아진다. 여자저고리는 옷감의 재질과 색‚ 장식 등으로 신분과 연령을 구분하였으며‚ 장식 정도에 따라 삼회장저고리·반회장저고리·민저고리로 나눠진다. 바느질 방법에 따라 솜저고리·누비저고리·겹저고리·깨끼저고리·적삼 등으로 구분하여 절기에 맞게 착용하였다. 옥양목(??木‚ calico)이란 평직으로 짜서 표백한 면직물의 하나를 가리킨다. 무명실로 너비가 넓고 곱게 짠 천으로 얇고 색깔이 매우 희며‚ 보통 나염해서 침구나 조화(造花)에 많이 사용된었다. 이 옥양목에 수요가 몰리게 되자‚ 우리 나라 농가에서 생산하던 재래의 무명베는 이때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요즘은 옛날보다 올이 성글게 나오며‚ 주로 옥양목보다 품질이 낮은 것을 옥당목(?唐木)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박물관종합정보안내 사이트(http://www.korea-museum.go.kr)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다. 주로 인도 등지에서 생산되어 영국 등지로 수출되었다. 영국에서는 17세기부터 동인도회사를 통하여 인도산 면포를 다량 수입해 들여 면직물 생산에 박차를 가하였다. 원래 캘리코(calico)라 함은 캘리컷(calicut:인도 남서부 케랄라주 코지코드의 옛지명)에서 생산되는 면포를 지칭하는 말이었는데 오늘날에는 인도산 면포의 일종을 지칭하는 영국말로 사용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개항 이후 청(?)나라 상인과 일본 상인이 영국에서 가공된 것을 수입해 들여왔다. 이 세련된 세면포(細綿布)를 서양포(西?布) 혹은 양포(?布)라고도 하였는데‚ 표백 가공된 상태가 옥처럼 깨끗한 양포라고 하여 옥양목이라고 부르게 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