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나일론 쌍용문 갑사 치마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나일론 쌍용문 갑사 치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여자의 하반신을 감싸는 의복. 치마는 저고리와 함께 일습을 이루는 여성들의 대표적인 전통복식으로 의례용 및 평상용으로 착용된다. 고구려 고분 벽화에 그려진 여인들의 옷차림에서 상고시대의 기본형을 찾아볼 수 있는데‚ 긴 저고리 유와 발등까지 내려온 치마(주름치마‚ 색동치마)를 착용하고 있다. 치마는 저고리와 한 벌의 의미로 상호적인 관계를 가지고 시대적인 변화를 보인다. 조선조 복식은 임진왜란을 계기로 큰 변화를 보이는데‚ 전란 이전의 저고리길이가 50∼80cm일 때 치마는 폭이 넓고‚ 길이가 짧아 허리에 입는 형태이다. 전란 이후 점차 길이가 길어지고 폭이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영·정조시대 문예부흥기를 맞이하면서 곡선이 강조된 하후상박형(下厚上薄形)의 전통적인 복식미가 완성된다. 치마는 옷감의 재질과 색‚ 등으로 신분과 연령을 구분하였으며‚ 형태에 따라 자락치마·짧은 통치마·예복용 스란치마와 대란치마 등이 있고‚ 바느질 방법에 따라 홑치마·겹치마·솜치마·누비치마 등이 있다. 사(紗)에는 대표적인 옷감으로 숙고사·생고사·갑사 등이 있다. 일반 직물은 날실[經絲] 이 평행으로 배열되면서 씨실[緯絲]이 교차하고 있는데 반해 사직(紗織)은 두 가닥의 날실이 있어 한 가닥의 날실은 보통 직물에서와 같이 직선상으로 씨실과 교차하나‚다른 한 가닥의 날실은 규칙적으로 날실의 좌우로 왕래하면서 날실과 씨실을 얽어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은 공간이 많은 직물이 되며‚ 날실과 씨실이 얽혀 있으므로 실이 밀리지 않아 공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갑사의 바닥은 평직과 2경꼬임 사조직을 상하좌우에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직물 전체에 물고기 비늘과 같은 작은 무늬를 놓은 것이다. 이와 같이 비늘무늬로만 짜여진 사직물은 순인(純仁)이라 한다. 갑사는 순인(純仁) 바닥에 다시 사조직과 평직을 혼합하여 무늬를 놓은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 갑사의 종루는 사직물 중 가장 많다. 갑사에는 정련의 유무에 따라서 숙갑사와 생수갑사가 있다. 또한 색과 무늬에 따라 수없이 많은 종류가 문헌기록에 나타난다. 나일론은 폴리아미드(Polyamid)계의 합성섬유의 브랜드 명으로 일반적인 폴리아미드계 직물의 총칭이 되었다. 물‚ 석탄‚ 공기의 혼합물로 인장강도가 아주 강하고 마찰에도 강한 특성이 있으나 열에 특히 약하다. 나일론은 초기의 합성섬유 중에서도 특히 양말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차츰 안감 ·속옷 ·블라우스 등 흡수성(吸水?)이 적은 부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혼방 및 혼직물로 많이 가공되어 합성섬유 가운데 최대의 생산액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박물관종합정보안내 (http://www.korea-museum.go.kr)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심연옥‚ 한국 직물 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2002‚ p20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