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연화문필낭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연화문필낭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붓 종류를 넣는 주머니. 주머니는 조그만 소지품·돈 등을 넣고 입술에 주름을 잡아 졸라매어 허리에 차거나 손에 들고 다니는 장신구이다. 비단 헝겊으로 만들어 수를 놓거나 금박을 박기도 하는데‚ 옛날에는 남녀노소 누구나 지녔다. 특히 한복에는 조끼를 제외하고는 물건을 넣을 만한 호주머니가 없어 실용적인 면에서 더욱 필요하였다. 언제부터 쓰기 시작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유사》 경덕왕조(景德?條)에 “왕이 왕위에 오를 때까지 항상 부녀(婦?)의 행동을 좋아하여 비단주머니를 즐겨 차고 다녔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신라시대 여인들이 주머니를 많이 찬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고려도경》에 의하면 “고려 귀가(貴家)의 부녀자들은…중략…감람륵건(橄欖勒巾)에 채조금탁(采條金鐸)을 달고 금향낭(錦香囊)을 찼는데…”라고 적혀 있어 고려시대에도 주머니를 애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용과 미를 겸한 장신구인 주머니는 형태·장식·용도·입술을 접는 방법과 소재에 따라 명칭이 각각 다르다. 형태는 크게 나누어 모난 것(귀주머니 또는 줌치)과 둥근 것(두루주머니 또는 염낭)이고‚ 장식에 따라서 금박주머니·수주머니 등이 있으며‚ 용도별로는 향낭·약낭·필낭·수저집·안경집·쌈지·도장주머니 등이 있다. 민간에서 쓴 귀주머니는 세모주름을 잡았고‚ 궁중의 것은 육모주름을 잡았다. 주머니에 놓는 금박이나 수의 도안은 십장생무늬·연잎무늬·봉무늬·오복꽃광주리무늬·당초무늬·불로초무늬·매화무늬·난초무늬·박쥐무늬·국화무늬·배꽃무늬·나비무늬·수(壽)·복(福)·희(囍)자 무늬 등이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