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공고상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공고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집밖에 나간 사람에게 음식을 날라갈 때에 쓰는 상. <유래 및 발달과정> 소반이 사용된 것은 조선시대 유교이념인 남녀유별‚ 장유유서 사상의 영향으로 겸상보다 독상이 주로 쓰였기 때문이다. 또한 공간적으로도 부엌과 방이 멀고‚ 규모가 작으면서 좌식생활을 하는 한옥에 작은 상이 적합하였기 때문이다. 소반의 종류는 산지‚ 형태‚ 용도에 따라 약 60여종으로 분류되며 명칭과 구조가 다르다. 해주반‚ 통영반‚ 나주반이 뛰어나며‚ 형태는 8각‚ 12각‚ 장방형‚ 4방형‚ 원형‚ 반월형 등 다양하다. 다리 모양에 따라 호족반‚ 죽절반‚ 단각반‚ 구족반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식반‚ 주안반‚ 제상‚ 교자상‚ 약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옛날에 고관이 궁중이나 관청에서 숙직할 때 상노들이 공고상에 음식을 담아서 머리에 이고 날랐다고 한다. 높이는 25cm‚ 지름은 59cm 정도로 12각(角)으로 되어 있다. 접합부에 놋쇠 장식이 있고 양층면에 손잡이 구멍이 아자(亞字) 투각문으로 되어 있으며‚ 앞에 내다보는 구멍이 파여 있다. 그래서 상을 머리에 이고 양측면의 손잡이구멍을 붙잡고 내다보는 구멍으로 앞을 보고 걸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박물관의 것 역시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손잡이 구멍의 투각이 만자(卍字)로 되어 있는 점만 차이가 있다. 그리고 안쪽에 “고간이뉴둥쇼삼상뎡미가례시?화궁"이라고 음각되어 있다. 순화궁은 원래의 이름은 태화정(?華亭)으로‚ 헌종 때 후궁 김씨가 거처해 순화궁(順和宮)으로 불렀는데‚ 정미(丁未)년 가례(嘉禮)시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공고상(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소반(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