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베갯모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베갯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베개 양쪽의 모. <유래 및 발달과정> 베개는 백제 무령왕비의 널 속에서 목침이 처음 나옴으로 인하여 오래전부터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목침은 통나무를 사다리꼴로 다듬고‚ 긴변의 중심 부분을 파내어 베기 편하게 하였고 전면에는 주색(朱色)을 칠한 위에 금박을 오려 붙여 귀갑문(龜甲紋)을 새기고‚ 또 그 안에 연화문 등 여러 가지 무늬를 새겼다. 고려시대의 유물에는 청자상감 운학모란문침(雲鶴牡丹文枕)이 있는데‚ 속은 비어 있고 양쪽 마구리에는 둥근 구멍이 뚫렸다. 또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수침(繡枕)의 형태에 대해서 흰 모시로 자루을 만들어 그 속을 향초로 채우고 양쪽 마구리는 꽃을 수놓았는데‚ 무늬가 매우 정교하고 붉은 깁으로 장식한 것이 연꽃잎과 같다고 설명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베개는 기록으로 보아 오늘날의 것과 별 차이가 없는데‚ 재질에 따라 수침 ·퇴침 ·목침 ·도침 ·곡침 ·면침 등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베개는 헝겊으로 길게 만들어 속에 왕겨‚ 메밀껍질 등을 넣고 봉한 다음‚ 흰색의 무명으로 호청을 만들어 겉을 싼 것이다. 양쪽의 모는 둥글게 하든가 각지게 만든다. 무늬는 구봉침(九鳳枕) ·학침 ·호침 ·목단침 ·연화침 ·수복침이나 글자로는 부(富) ·귀(貴) ·수(壽) ·복(福) ·희(囍) ·강(康) ·녕(寧)‚ 만(卍)‚ 아(亞)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특수한 것으로는 갓난아기의 베개‚ 신혼부부의 베개‚ 노인이나 환자를 위한 베개가 있다. 갓난아기의 것은 무게를 유지하여 밀려나지 않도록 조를 넣어 만든다. 신혼부부의 베개는 구봉침(九鳳枕)이라 하여‚ 신랑‚ 신부가 같이 벨 수 있도록 약 50cm의 길이로 길게 만든다. 베갯모에는 7마리의 새끼를 거느린 봉황 한쌍을 마주보게 수놓고‚ 둘레에는 십장생문양과 완자문양을 수놓는다. 노인이나 환자를 위한 베개는 불로침(不老枕)이라고 하여 장시간 베고 있어도 머리에 부담이 적고 상쾌한 느낌이 들도록 만든다. 본 박물관의 베갯모는 나무로 만든 것으로 ‘만수무강(萬壽無疆)’의 글씨를 음각으로 새겼고 베개와 베갯모를 잇기 위한 16개의 바늘 구멍이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베개(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EnCyber두산세계대백과-베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