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첩지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첩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 왕비를 비롯한 내외명부(內?命婦)가 쪽머리의 가리마에 얹어 치장하던 장신구의 하나 <유래 및 발달과정> 조선 중기까지 부녀자의 머리모양이었던 가체가 사치로 인한 폐해가 많아지자 영조와 정조 양대에 걸쳐 이것을 시정하기 위하여 화관이나 족두리를 쓰게하였는데 첩지는 화관이나 족두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일반적인 형태와 특징> 첩지는 품계에 따라 앞머리 부분의 모양만 다를 뿐 동체(胴體)는 길이 7-8cm로 꼬리 부분이 살짝 위로 올라간 동일한 모양이다. 앞부분의 장식은 왕비는 도금한 용첩지를 쓰고‚ 비·빈은 도금한 봉첩지‚ 내외명부는 신분에 따라 도금하거나 흑각(黑角)으로 만든 개구리 첩지를 썼다. 첩지는 동체만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검정색 천으로 싼 받침대 중앙에 동체를 올려 놓고 앞부분과 중앙·꼬리 부분을 다홍색 실로 4-5번 정도 떠서 고정한 다음 받침대 양쪽에 다리(月子)를 붙여 사용하였다. 다리는 양쪽 끝부분만 조금 땋아 댕기를 드려놓아 끝이 흐트러지지 않게 한다. 첩지는 머리 중앙의 가리마 앞부분에 얹고 양쪽 다리를 귀 뒤로 넘긴 뒤 서로 반대편으로 돌려 원머리와 함께 쪽을 졌다. 궁중에서는 신분 구별을 쉽게 하기 위해 평상시에도 첩지를 사용했으나‚ 사대부 부녀들은 예장 때만 사용했다. 이 첩지는 도금한 개구리 첩지로서 검정색 받침대에 검은 색실로 고정했고 다리가 달려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첩지(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