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기떡살

추천0 조회수 1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기떡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절편의 표면에 문양을 찍는 도구 <유래및 발달과정> 고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떡살은 떡본 또는 떡손·병형(餠型)이라고도 한다. 적절한 크기로 잘라낸 떡에 물기를 묻혀서 떡살로 도장을 찍듯이 눌러 사용한다. 누르는 면에 음각 혹은 양각의 문양이 있어서 절편에 찍으면 문양이 아름답게 남는다. 주로 나무로 만들지만 사기와 자기로도 만든다. 특히 궁중에서는 주로 백자로 만든 떡살을 사용하였다. 떡살의 형태는 원형‚ 장방형 등이 있는데‚ 대체로 둥근 모양의 것은 사기나 자기이고 장방형의 것은 나무이다. 문양에는 꽃문양‚ 선문양‚ 길상문양을 많이 쓴다. 특히 단오날의 수리치 절편에는 수레문양이 있는 떡살로 수레문양을 내고‚ 잔치에는 꽃모양을 찍어넣고‚ 사돈이나 친지에게 보내는 선물용에는 길한 문양을 넣어 만든다. 떡살의 무늬는 일반적으로 가문에 따라 독특한 문양이 정해져 있었다. 그 문양은 좀처럼 바꾸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집안에 빌려주지도 않았다. 부득이하게 떡살의 문양을 바꾸어야 할 때에는 문중의 승낙을 받아야 할 만큼 집안의 상징적인 무늬로 통용되었다. 떡살은 우리 음식문화에 있어서 격조의 일면을 대변한다. 이 목기떡살은 각 면의 너비가 모두 5cm인 직육면체 모양이다. 3면은 떡살로 쓸 수 있으며‚ 한 면은 다식판으로 쓸 수 있는 다목적 떡살이다. 한 면은 2부분으로 나누어 길게 가로선문을 새겼으며‚ 다른 한 면은 바둑판 모양과 다양한 모양으로 선을 그은 기하학적인 무늬를 새겼다. 나머지 한 면은 수(壽)자와 복(福)자를 중간중간에 새기고 나머지는 격자 모양을 새겼다. 다식판은 꽃모양 두 개와 기하학적인 무늬를 새긴 사각형 두 개를 깊게 새겼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떡살(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